국제 철강가격은 하락세로 전환 전망
철강산업 중립으로 하향: 중국 유동성 축소 정책은 부정적인 뉴스
12월 세계 조강생산량 106백만 톤, -0.6% MoM, +29.7% YoY
WSA(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12월 세계 조강생산량은 106백만 톤으로 -0.6% MoM, +29.7% YoY를 기록했다. 주요 조강 생산 국가 및 지역 중 EU(27)만 전월대비 12.7%(1.8백만톤, +35% YoY)감소를 기록하였고 나머지 국가 및 지역들은 모두 전월대비 증가세를 보였으나 조업일수를 감안한다면 소폭 감소세를 기록한 것이다. 한국은 4.4백만 톤을 생산하여 전월대비 1.1% 증가, 전년대비로는 35.0% 증가세를 기록했다. 미국, 일본, 러시아, C.I.S.(6)는 각각 전월대비 +1.7%, +1.0%, +2.0%, +1.9% 증가했으며 금융위기로 급락했던 2008년 12월 대비 러시아(+66.3%), C.I.S.(+53.3%), 미국(+48.2%), E.U.(+35.0%) 순으로 전년대비 급격한 회복세를 보였다. 중국은 전월대비 0.4백만톤 증가한 47.7백만톤(+0.9% MoM, +26.1% YoY)을 기록했지만 peak를 기록했던 2009년 8월(52.3백만톤) 대비 -8.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중소업체들의 감산이 이루어 지고있는것으로 판단된다.
세계 조강생산량은 peak대비 89% 수준까지 회복
12월 세계 조강생산량은 생산량 peak를 기록했던 2008년 5월 대비 88.7%로 회복했다. 동일한 기준으로 중국 생산량은 103.6%를 기록했고 중국을 제외한 세계 조강생산량은 peak 대비 79.4%다..
한국의 peak대비 생산량은 90.4%수준으로 세계평균(88.7%) 보다 0.7%p높다.
국제 철강가격은 하락세로 전환 전망
CRU Global Steel Prices Index(1994년 4월=100)는 12월 초 146.51로 바닥을 치고 2010년 1월 22일 159.8로 반등했다 그러나 세계 조강생산의 47%(2009년 평균)를 차지하는 중국의 유동성 축소 정책으로 선행지표(2~3주)인 중국의 철강 가격지수가 하락반전 했고 중국의 조강 수출은 2009년 7월부터 순수출로 전환후 12월까지 매월 증가세를 보여 국제 철강가격지수는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한다.
철강산업 중립으로 하향: 중국 유동성 축소 정책은 부정적인 뉴스
철강산업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변경한다. 그 이유는 중국의 유동성 축소 정책 -> 중국 철강가격 하락 -> 국제 철강가격 하락 -> 국내 철강사 주가 하락압력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의 철강 유통가격(인덱스 기준)은 2010년 1월 7일(147.9)을 단기 고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