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표준 체계의 선진화와 국제표준화 대응역량 강화 등 4대 분야별 106개 세부과제를 추진해 600종의 국가표준을 개발하고 이를 위해 1,888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정부는 지난 5일 지식경제부 최경환 장관 주재로 관계부처 차관 및 민간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표준심의회를 개최하고 '2010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및 '법정인증제도 중복시험 해소방안' 등 2개 안건에 대해 의결하고 전자정부 웹표준화 및 장애인 접근성 강화 종합대책 등 4건을 보고했다.
이날 심의회에서는 600종의 국가표준을 개발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1,888억원을 투입하는 내용의 '2010년도 국가표준 시행계획'을 의결했다.
정부는 국가표준체계 선진화를 위해 각 부처에서 운영하는 기술기준을 국가표준과의 부합화 및 글로벌 스탠더드화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기술기준을 코드화하여 관리하고, 특허와 표준의 연계를 지원하기 위해 '표준특허지원단'을 구성·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제표준화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 IEC, ITU 등)의 임원(의장/간사/컨비너) 진출을 현재 104명에서 121명까지 확대하는 등 국제표준화 민간 전문가 활동지원을 강화하고, 환경표준 한·중·일 공동기준개발, 자동차 안전기준 마련 및 차세대 방송통신 분야의 사실상 표준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기술표준원 관계자는 금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끝으로 2006년도에 수립된 제2차 국가표준기본계획(5개년)은 마무리 되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수행예정인 제3차 국가표준기본계획이 수립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