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율 35%로 높인다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율 35%로 높인다

  • 일반경제
  • 승인 2012.02.13 11:32
  • 댓글 0
기자명 김덕호 dhkim@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산화율 20%수준…2020년까지 35%로 증대
유력업체 벤더등록 지원 통한 수출량 증대 기대

  13일 지식경제부가 국내 해양플랜트 기자재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확대하고 자급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지경부는 '해양플랜트 기자재 산업 활성화 대책'을 통해 현재 20%에 불과한 해양 플랜트 기자재의 국산화율을 2020년까지 35%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한국가스공사와 가스공급계약을 맺은 네덜란드 로열더치셸 및 프랑스 토탈사의 납품업체 리스트(벤더 리스트)에 한국산 기자재를 등록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국산 기자재가 해외 석유 회사의 벤더리스트에 등재되면 플랜트를 제작해 이들 회사에 공급하는 국내 조선사가 해당 기자재를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플랜트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 역시 발주처의 벤더리스트에 한국 기자재가 등재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자재 기업의 기술 개발 및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핵심 기자재 개발을 위해 국산화율이 낮고 파급 효과가 큰 100대 전략 품목을 선정, '해양플랜트 기자재 기술개발 로드맵'도 상반기 중 수립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 동남광역권선도사업, 미래산업선도기술사업 등을 통한 기술개발 지원 규모도 확대하기로 했으며, 외국 선진 기업과의 전략적 기술제휴 및 인수합병(M&A)도 추진하기로 했다.

  해양플랜트 기자재 전담 연구기관인 '해양플랜트 기자재 R&D 센터'가 하반기 부산에 설립되며, 내년에는 고급기술 전문인력 양성센터도 구축된다.

  한편 해양플랜트 기자재 시장 규모는 작년 1,400억 달러에서 2015년 2,300억 달러, 2020년 3,200억 달러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윤 차관은 "해양 플랜트 원가의 52%를 차지하는 기자재는 발주처의 보수적인 구매관행으로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에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와 조선사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대책 수립의 배경을 설명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