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전년비 69.9%, 전월비 44.3% 급증
미국 수출이 실적 증가 견인
2월 강관 수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철강협회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강관 수출량은 24만9,889톤으로 집계, 전년동기 대비 69.9%, 전월대비 44.3%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2월 강관 수출입 |
|||||||||
(단위 : 톤, %) |
|||||||||
|
월별 |
누계(1~2월) |
|||||||
2011. 2 |
2011. 1 |
2012. 2 |
전월비 |
전년비 |
2010 |
2011 |
전년비 |
||
수출 |
미국 |
78,364 |
97,980 |
149,560 |
52.6 |
90.9 |
165,760 |
247,540 |
49.3 |
UAE |
10,654 |
4,555 |
15,061 |
230.6 |
41.4 |
24,243 |
19,616 |
-19.1 |
|
기타 |
58,080 |
70,695 |
85,268 |
20.6 |
46.8 |
128,645 |
155,963 |
21.2 |
|
계 |
147,098 |
173,230 |
249,889 |
44.3 |
69.9 |
318,648 |
423,119 |
32.8 |
|
수 입 |
중국 |
16,983 |
34,302 |
28,449 |
-17.1 |
67.5 |
50,376 |
62,751 |
24.6 |
일본 |
16,554 |
14,908 |
16,676 |
11.9 |
0.7 |
29,079 |
31,584 |
8.6 |
|
기타 |
5,983 |
11,819 |
11,817 |
0.0 |
97.5 |
14,616 |
23,636 |
61.7 |
|
계 |
39,520 |
61,029 |
56,942 |
-6.7 |
44.1 |
94,071 |
117,971 |
25.4 |
|
자료 : 한국철강협회 |
최대 수출국은 미국으로 전월 수출량의 59.8%인 14만9,560톤을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0.9%, 전월 대비로는 52.6% 늘어난 것이다. 이와 같은 판매량 급증은 미국의 석유 및 가스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에너지용 강관 수요가 견조한 데 따른 것이다.
에너지용 강관 수출 역시 전년비 75%, 전월비 37.1% 늘어난 16만7,893톤인 것으로 집계됐다.
강관 수출이 이와 같은 양상을 보인것은 지난 1월 판매량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데 따른 기저효과와 국내 강관사들의 수출 확대 전략이 본격적으로 적용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강관 수입량은 5만6,942톤으로 전월비 6.7%감소, 전년비 44.1% 증가했다. 최대 수입 국가인 중국산은 2만8,449톤으로 집계, 29.3%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일본산은 1만6,676톤으로 20.8%의 비중을 차지했다.
2012년 에너지용 강관 수출 |
|||||||||
(단위 : 톤, %) |
|||||||||
|
월별 |
누계(1~2월) |
|||||||
2011. 2 |
2011. 1 |
2012. 2 |
전월비 |
전년비 |
2010 |
2011 |
전년비 |
||
송유관 |
스파이럴 |
33 |
13,213 |
13,502 |
-35.1 |
9,687.4 |
168 |
26,715 |
9,687.4 |
롤벤딩 |
14,636 |
17,958 |
27,800 |
54.8 |
89.9 |
38,146 |
45,758 |
20.0 |
|
전기용접 |
39,396 |
44,801 |
58,182 |
29.9 |
47.7 |
84,455 |
102,983 |
21.9 |
|
계 |
54,065 |
75,972 |
99,484 |
30.9 |
84.0 |
122,769 |
175,456 |
42.9 |
|
유정관 |
41,888 |
46,498 |
68,409 |
-34.5 |
8.3 |
84,840 |
114,907 |
8.3 |
|
계 |
95,953 |
122,470 |
167,893 |
37.1 |
75.0 |
207,609 |
290,363 |
39.9 |
|
자료 : 한국철강협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