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4일분에 해당되는 362톤 비축 계획
정부가 2014년까지 국내 수요 100일분에 해당하는 1,500톤의 희토류 를 조기 비축키로했다.
지식경제부는 23일 제3차 희토류 확보 점검반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희토류 수급 안정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정부는 올해 디스프로슘, 세륨, 란탄, 이트륨 등 비축 희토류 200(113억7,000만원)톤을 구입해 24일분인 총 362톤의 비축량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 목표량은 지난해 말 162톤에서 123.5% 늘어난 양이다. 정부는 향후 1,104억8,500만원을 투입, 3년 내 비축 희토류 1,500톤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 크로뮴, 몰리브데넘, 안티모니 등 다른 희유금속 8종도 2016년까지 60일분을 비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내년까지 지질자원연구원 주도로 희토류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보이는 강원 홍천, 충북 충주, 충남 서산 지역을 정밀 탐사하고 경제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술 개발에도 적극 나선다. 오는 6월부터 민간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 영구 자석을 생산하기 위한 희토류 전(全)주기 연구·개발(R&D)을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질자원연구원 등 관련 연구기관이 희토류 자원 재활용 및 소재화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지경부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제한 정책 등에 따라 수급불안 요인이 있지만 당분간은 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