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재 방어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나

수입재 방어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나

  • 철강
  • 승인 2012.08.22 06:50
  • 댓글 0
기자명 에스앤앰미디어 hyju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월까지 철강재 수입이 1,276만톤으로 전년대비 무려 14.6%가 줄었다. 반면 수출은 1,786만톤으로 12.0% 늘어나 순수출이 무려 509만톤에 달하고 있다. 단순계산하면 연말까지 순수출이 무려 900만톤에 육박하게 된다.

  일견 생산능력 확충에 따라 우리나라도 철강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고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순수출 증가를 다른 관점에서 평가하고 있다. 다시 말해 늘어난 생산량을 국내에 판매하지 못하고 해외에 내다 팔고 있다는 것이다. 

  또 업계 관계자들은 수입량이 감소했음에도 시장에서는 오히려 수입재로 인해 엄청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가격적인 측면에서 수입재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져 국내산의 덜미를 잡고 있다. 국내산을 주로 취급하는 유통가공업체의 경우 수입재를 기준으로 가격을 맞춰달라는 수요가의 요구에 국산으로는 도저히 조건을 맞출 수 없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그 결과 고정 거래선을 잃어버리는 일까지 현실화 되고 있다. 결국 하나둘 수입재 취급 유통점이 늘어나 이제는 대형 대리점들조차도 대부분 수입재를 함께 취급하게 됐다.

  모 유통가공업체 사장은 유통점의 존재 이유가 고객에게 최저 가격, 최적 품질의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는 것이라며 이제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수입재 외에는 답이 없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소속 제조업체의 물량 구매를 계속한다는 것은 고객에게 최선을 다하지 않는 것과 같은 결과가 된다며 쓴웃음을 짓는다.

  철강산업의 존재와 미래를 생각한다면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이지만, 나름 많은 생각과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이라 반박하기도 쉽지 않은 이야기다.

  그렇다면 현재와 같은 시장 환경이 조성된, 수입재가 급격하게 확산된 이유부터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지난해 5월의 무리한 가격 인상은 수입재 유입의 기폭제가 됐다. 또 제조업체들이 직접 수입재를 들여왔던 일은 수입재에 당위성을 부여한 것이라 생각된다. 결국 책임의 상당부분이 제조업체 스스로에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한편, 수입재의 시장 잠식, 영향력 축소를 위해 과연 어떤 일들이 실행되고 있는가 생각해 보게 된다. 철강통상대책위원회가 구성됐고 품목별 분과위원회도 만들어졌다. 건기법 등 일부 법 개정이 이루어져 대상 품목이 6㎜ 이상 강판까지 확대됐고 원산지 표시 강화 이야기도 나왔다. 열연 후판에 대해 일본산 제품의 반덤핑 제소 추진도 거론됐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들이 실제 실행되고,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는 판단하기 어렵다. 

  수입재 방어를 위해 무엇보다 선결해야 하는 과제는 수요가 중심으로의 인식 전환과 마케팅 정책의 변화다. 또한 이와 더불어 실질적인 법과 제도의 마련, 그리고 이의 철저한 시행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 철강업계는 과연 실질적인 방어를 위해 수입대응재 외에 무엇을 해냈는지 아무리 생각해도 떠오르지 않는다.

  이대로 가다가는 앞서 언급한 유통업체 사장의 주장에 아무런 반박도 할 수 없는 지경이 될까 두려울 뿐이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