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건설사 매출 1997년 54억→2010년 31억...
“정부 차원 대책 시급”
중소건설업체들의 경영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건설협회, 건설공제조합,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등이 최근 공동 조사해 발간한 '중소건설업체 경영실태 분석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건설업체들의 평균 매출액은 지난 1997년 54억원에서 2010년 31억원으로 42.4%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대형 건설사의 평균 매출액은 같은 기간 1,669억원에서 5,568억원으로 3.3배 증가, 중소 건설사와 대형 건설사간의 매출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건설사의 매출 증가율은 다른 산업에 비교해서도 낮았다.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전 산업의 중소기업 연평균 매출 증가율은 10.3%(제조업 11.6%)인 반면 중소 건설사의 연평균 매출증가율은 6.3%로 12개 업종 중 10번째에 그쳤다.
중소건설업체가 건설시장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 비중도 지난 2005년 48.8%에서 2010년에는 44.1%로 축소됐다.
또, 최근 건설경기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중소 건설업체들이 주로 참여하는 공공공사 중 적격심사대상 공사의 평균입찰경쟁률이 358대 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한 해 동안 적격심사대상 공사를 1건 수주한 중소업체가 91.3%, 2건 수주한 업체가 7.6%로 나타났으며, 1년간 실적이 없는 건설업체도 8.5%에 달했다.
권오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사는 "중소건설업체들은 종합건설업체의 98.9%, 건설업 전체 종사자의 55.9%, 건설업 전체 매출의 32.7%를 차지하고 있어 국민경제와 건설 산업에 있어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이 같은 중소건설업체들의 경영악화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
직원 300명 미만의 중소 건설사가 전체 종합건설업체(9,077개)의 99%를 차지하는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특히 중소건설사들은 그동안 중소건설업체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거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자금지원 프로그램이 절실하다고 답했다.
권 박사는 "중소건설사들은 현재 업체수 과잉, 수주경쟁 과열, 사업 규모의 과소, 수익성 부진 등으로 한계에 봉착했다"며 "이를 위해서는 입찰제도의 근본적인 개선, 중소건설사 지원 등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