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철강 수출 크게 악화돼…엔저 지속, 중소기업 채산성 악화
일본의 양적 완화로 원·엔 환율이 10% 떨어질 경우, 2분기 우리나라의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1.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기획재정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엔화 약세에 따른 우리 수출영향과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최근 엔·달러 환율이 100엔에 가까워지면서 엔화약세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1분기 우리나라의 일본 수출실적을 보면 철강(-25.0%), 기계(-23.9%), 전기전자(-19.2%) 등 일본과 경합도가 높은 품목은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
특히 중소기업은 엔·달러환율에 대한 수출가격 탄력성(-0.312)이 대기업(-0.223)보다 높아 환율변동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손익분기점으로 보는 100엔에 대한 원화 환율이 1,343원임을 고려하면 엔저 지속시 채산성 악화가 심해질 수 있다는 것.
이형일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최근 품질, 브랜드 등 비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국외생산이 늘어 환율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줄고 있다"며 "다만 엔화약세가 장기간 이어지면 한국 수출의 하방 위험 요인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기재부는 이에 대응하고자 수출 중소기업에 정책자금 지원을 늘리고, 환차손실 관리능력을 높이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또 엔저 장기화에 대비해서 수출기업의 투자의욕이 떨어지지 않도록 투자환경을 개선하고, 내수활성화로 대외무역 의존도를 낮추면서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환율부담을 지나치게 떠넘기는 등의 불공정행위를 지양하는 등 동반성장 생태계도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