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 34개사가 선정됐다.
34개 중 11개 기업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23개 기업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대기업 정기 신용위험 평가 결과 34개 사가 구조조정 대상 기업으로 선정됐다.
정기 신용위험 평가는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며 올해는 601개 업체가 세부 평가대상으로 분류돼 신용위험 평가를 받았다.
구조조정 대상 업체 수는 전년도 40개보다 6개사가 줄었다.
업종별로는 건설사가 21개(C등급 4개, D등급 17개), 조선사가 3개(C등급 1개, D등급 2개), 철강업체가 1개(C등급), 기타 업종이 9개(C등급 5개, D등급 4개) 등이다.
C등급을 받은 11개 기업은 워크아웃이 추진된다. D급 업체 23개는 법원 주도의 구조조정으로 법정관리가 추진된다.
금융당국은 채권단 주도의 지원이 가능한 C등급 기업을 적극 살리겠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채권은행이 C등급 업체가 워크아웃을 조속히 신청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채권은행이 책임을 지고 적극적인 금융 지원을 통해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협력업체 등의 피해를 최소하하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