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CFA코리아 김상용 부회장

(인터뷰) CFA코리아 김상용 부회장

  • 비철금속
  • 승인 2014.12.19 15:43
  • 댓글 0
기자명 김도연 kimdy@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FA코리아 김상용 부회장
 
Q. 우선 회사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저희 CFA KOREA는 일본 동철합금주식회사의 합작법인으로 동철합금 CFA를 기반으로  철(Fe) 5%부터 90%까지 자유자재로 용해가 가능한 CFA 모합금(Cu 50%, Fe50%)을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Q. CFA 제품의 연구, 개발을 마치고 본격 양산에 들어갈 계획으로 알고 있습니다. CFA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 CFA는 Copper Ferro Alloy의 이니셜을 말하는데 동철합금의 상품명입니다.
CFA95는 동95%에 철이 5%가 들어간 제품을 말하며 CFA20은 철이 80%까지 들어간 합금입니다. CSA10은 스테인리스에 CFA를 합금한 것으로 동이 10% 함유된 제품입니다.
  저희 CFA 모합금의 특징은 다양한 용도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동(Cu)에 철(Fe)을 자유자재로 섞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CSA (CFA Stainless Alloy) 또한 다양한 합금비중이 가능합니다.

  Q. 철동 또는 동철이라고 불리는 합금은 사실상 합금 자체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 상업화가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사실 생소한 합금인데요?

  - 동과 철이 합금된다는 것은 거의 어렵다는 것이 그동안의 일반적인 생각입니다. 또 지금도 많은 학자들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통상 포정(包晶)이나 공정(共晶)에서 응용된 기술이라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입니다.
  그러나 동철합금은 이미 15년 전에 개발돼 지금까지 오랜 시간동안 각종 시험결과를 가지고 제품에 적용을 시도해왔고 이제서 상업화를 통해 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저희 CFA가 제품화 돼 0.05mm와이어나 0.01mm 박판으로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여러 기업의 노력의 결과이며 꿈의 소재라고 일컫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Q. 철동 모합금을 활용해 동합금 및 3원계 합금 등 다양한 합금이 가능하고 그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신데, 실제 용해와 주조 등의 상용화에 성공한 합금은 어떤 것들인지요?

  - 현재 대부분의 합금들이 용해와 주조 등의 실질적인 생산기술이 확보된 상태입니다. 2차 가공돼 상업화가 이뤄진 제품으로 적용된 것은 CFA95와 CFA90의 와이어와 Coil로 현재 일본과 한국의 전자업체에 납품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업체들로부터 구매 상담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 CFA60은 용접Tip으로 일본 업체에 납품하고 있고 스테인리스와 CFA를 합금 한(동 10%에서 40%까지) CSA도 상업화가 이뤄졌습니다.

  Q. 철동(동철)이라는 합금은 상당히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CFA 제품의 특성에 대해 설명해 주십시오.

  - CFA는 동이 가진 장점과 철이 가진 장점을 모두 가진 합금으로, 도전율이 72%가 나오는 동합금은 CFA가 유일합니다. 전자기파 차폐효과도 뛰어나서 전계와 자계를 모두 차폐할 수 있는 유일한 고기능 소재이며 좋은 탄성이나 내마모성 내부식성 등 모든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현재 유해물질로 대두되고 있는 베릴륨동을 대체할 유일한 금속이 CFA이며 인청동 및 동합금 대체로도 성능이나 가격에 비교우위가 있습니다.

  Q. 수많은 분야에서 CFA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현재 상업화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CFA코리아에서 우선적으로 진입하려는 시장은 어떤 분야인지요?

  - CFA코리아는 소재 공급 기업으로서 많은 기업들이 동철합금(CFA) 모합금를 적용해서 다양한 제품을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입니다.
  현재 각 업체들과 상생 협업을 통해 많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현재 모기업에 스마트폰에 적용하는 소재 부품으로 등록이 되어 납품 중에 있고, 향후에도 전기 전자 부품소재에 많이 쓰여 질 것입니다.
특히 일본 각 기업들의 주문이 쇄도하고 있는데 전부 대응을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CSA는 항균기능을 가진 특성으로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많은 수요가 있을 것입니다. 향후  항균성과 열전도를 요구하는 주방기구에도 우리 CSA가 적용 돼 은수저 대신 CSA수저와 항균 식기로 식사하는 모습을 어느 가정에서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종 금속을 용접할 수 있는 용접봉으로 알루미늄을 제외한 모든 이종간 금속의 용접이 가능하기에 특수 용접봉 시장에 진출할 것입니다.
  또한 함정, 잠수함 등 방위산업에 들어가는 스텔스 기능과 고탄성 재료로 응용되어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 모든 것이 각 전문 기업과의 협업으로 이뤄진 성과이며, 앞으로도 CFA 코리아는 협업기반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입니다.

  Q. CFA코리아의 향후 사업 계획과 목표는 무엇인지요?

  - 현재 제품의 생산 확대를 위해 대규모 Billet Slab 용해공장을 비롯한 클러스터를 준비 중입니다. 많은 요구가 있는 개별 산업별 소재에 적용하기 위한 글로벌 CFA 응용제품 연구소를 설립 중에 있습니다. 아울러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많은 해외기업과 상담 중에 있으며 CFA의 전 세계 보급에 노력을 경주 할 예정입니다.

  Q. 끝으로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으시다면?

  - CFA는 향후 우리 차세대 먹거리로 자리매김 할 것입니다. 그 초석을 다지는 힘든 일을 협력업체들과 수행하고 있고, 많은 기업과 단체와 정부가 꾸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산업화를 이룬다면 앞으로 대한민국의 위상은 더욱 높아질 것이며, 그 중심에 CFA KOREA가 함께 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