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관, 해외기관 대비 밝은 전망 내놔
중국 경기 둔화 및 엔저 영향, 수출에 악영향
글로벌 투자은행(IB) 등 해외 금융기관들이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3.5% 수준으로 전망했다. 이는 두 달만에 0.3%p 낮아진 것으로 국내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의 3% 후반대의 전망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22일 국제금융시장에 따르면 이달 들어 28개 해외 경제예측기관이 내놓은 한국의 내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는 평균 3.5%로 집계됐다.
한국의 내수 경기가 여전히 부진한데다 중국·유럽의 경기 둔화 및 엔저 심화 현상이 수출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해외 기관별로는 HSBC와 미국 시장조사기관 IHS이코노믹스의 전망치가 3.1%로 가장 낮았고 BNP파리바는 3.3%로 내다봤다.
다수의 IB는 일본 자민당의 총선 압승으로 아베노믹스가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으면서 엔저를 한국 경제의 하방 위험 요소로 꼽았다.
엔화 약세 탓에 일본 수출업체와의 가격 경쟁이 심해지고 있고 구조적 문제로 내수 부진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본 것.
모건스탠리는 엔화 대비 원화 가치의 상승(원·엔 환율 하락)이 내수의 한 축인 설비투자에도 부담을 줄 것으로 봤다. 이들은 미국을 제외한 주요국의 경기 둔화가 국내 수출에 당분간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내년 성장률을 3.7%로 제시했다.
이밖에 무디스(3.4%), ING그룹(3.5%), 스탠다드차타드(3.6%) 등이 3% 중반대, JP모건(3.7%), 골드만삭스(3.8%), 바클레이즈(4.0%) 등은 3% 후반대와 그 이상의 성장률을 예상했다.
국내 기관들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3.7%로 해외 기관보다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KDB대우증권이 3.5%로 가장 낮고 현대경제연구원 3.6%, 한국금융연구원 3.7%, LG경제연구원 3.9%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