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추진단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선정
포스코에너지(사장 황은연)의 연료전지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에너지가 추진 중인 연료전지사업은 최근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으로부터 ‘미래성장동력 분야 플래그십 프로젝트(flagship project)’로 선정됐다.
이번에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선정된 제품은 연료전지, 폴리케톤(차세대 플라스틱 소재), 차세대 영화상영 시스템(다면상영 시스템) 등 총 3건이다.
도심형 분산발전원인 연료전지는 2009년 정부가 태양광, 풍력과 함께 3대 중점 신재생에너지로 선정하고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독일 등과 비교해 활성화가 미흡하다는 판단에 따라 추진단과 산업통상자원부는 연료전지를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선정해 사업을 확산시키고 제품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기업과 지방자치단체가 2020년까지 약 4,600억 원을 투자해 ‘구역단위 자립형’ ‘도시단위 자립형’ ‘다목적 연료전지’ 등 발전용량에 따라 다양한 용도의 연료전지 사업을 추진한다.
국내 연료전지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는 포스코에너지는 한국수력원자력 등이 1,150억 원을 투자해 서울 상암동 유휴부지에 20㎿ 규모로 구축하는 ‘구역단위 자립형 연료전지’, 한전 등이 60㎿ 규모로 대구 인근에 추진하는 ‘도시단위 자립형 연료전지’, 서울시 등이 서울 목동에 2.5㎿ 규모로 설치해 전력과 열, 전기수소차 충전연료를 공급하는 ‘다목적 연료전지’ 사업에도 참여하는 등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추진되는 전반적인 사업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예정이다.
이에 맞춰 정부는 연료전지 관련 핵심기술 국산화와 차세대 연료전지 개발 관련 연구개발(R&D)을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R&D 비용으로 262억 원을 지원하고 연료전지를 비상전원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연료전지 확산 기반을 조성하고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에너지는 2020년 4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세계 연료전지시장에서 20% 이상 점유를 목표로 정하고 연료전지를 우리나라의 차세대 수출 주력업종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