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 2고로 ’환골탈태’

포스코, 포항 2고로 ’환골탈태’

  • 철강
  • 승인 2015.05.12 12:00
  • 댓글 0
기자명 방정환 jhba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일 화입식...국내 최초 4代期 조업 시작
최신 기술 적용…고로 수명연장, 배출수증기 없애

 포스코(회장 권오준)가 포항2고로의 3차 개수공사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최신예설비로 재탄생시켰다. 이번 개수공사는 이전 고로와 달리 내용적(2,550㎥) 확장 없이 진행돼 포스코의 조강생산 능력에는 변화가 없다.

 지난 1976년 5월 가동 이래 두 차례의 개수를 거치며 38년간 6,900만톤의 쇳물을 생산했던 포항 2고로는 95일간의 개수를 마치고 12일 국내 최초로 4대기 조업에 들어가는 화입식을 가졌다. 권오준 회장은 취임 후 처음으로 화입행사를 가졌으며 김해봉 조선내화 사장 등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해 고로 화입을 기념했다.

 


 
 권오준 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강건한 설비 경쟁력을 바탕으로 연간 210만톤의 쇳물을 향후 15년간 꾸준히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됐다”며 “최근 어려운 대내외 경영여건속에서 2고로가 ‘POSCO the Great’달성의 주춧돌이 되어주리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포항2고로는 사이클론가스(Cyclone Gas) 청정시스템을 적용을 통해 기존 집진설비 대비 50% 이상 집진효율을 높였고, 배출수증기를 제로(Zero)화하기 위해 무증기수재설비를 도입하였다. 더불어 정밀한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냉각방식을 개선하여 고로 본체의 수명을 더욱 늘리고 경쟁력도 향상시켰다.
 
 특히 3,000여억원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인 이번 개수는 포스코건설 등 패밀리사에 일괄 발주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기존 패밀리사 외에 24개 중소 공급사에 분할 발주함으로써 중소기업 상생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했다.
 
 한편 지난 1976년 5월 1대 조업을 시작한 포항2고로는 국내조강생산 능력을 400만톤으로 올려 북한의 320만톤을 처음 앞지르는 계기가 됐으며, 이후 조선, 가전, 자동차 등 국가산업발전의 근간이 되는 주요 관련 산업이 선진국 수준으로 성장하는 데 밑거름이 됐다. 특히 설비건설 대부분이 국내 기술진에 의해 이뤄짐으로써 당시 준공식에 참석했던 박정희 전 대통령으로부터 설비국산화에 대해 극찬을 받은 바 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