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장급·남성 근로자 주말근무 가장 많아
철강업종 근로자들의 89.2%가 주말근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부터 단계적으로 주5일근무제가 시행된 지 11년이 지났다. 실제 근무 상황은 어떨까.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 1,944명을 대상으로 ‘주말 근무 현황’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직장인의 82.9%가 현재 직장에서 ‘최근 1년 이내에 주말 근무를 했던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주말근무 빈도는 한 달에 1~2번 한다는 답변이 45.9%로 가장 많았으며, 매주 한다는 답변도 36.5%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주말 근무 시 하루 평균 근무 시간은 약 7시간 48분으로 나타났다.
기업 형태를 막론하고 80% 안팎으로 주말 근무 경험이 ‘있다’고 답했는데, 특히 대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은 답변율이 84.8%로, 공기업(84.0%)이나 중견기업(83.6%), 중소기업(84.4%), 외국계기업(79.7%) 직장인보다 높았다.
직급에 따라서는 과장급 직장인 중 주말근무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가 89.2%로 가장 높았다. 가장 낮은 답변율을 보인 직급은 사원급(79.3%)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 직장인은 89.9%, 여성 직장인은 75.4%가 있다고 대답해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업종별로는 식음료/외식업계에 근무하는 직장인들이 91.7%로 주말근무 경험자 비율이 가장 높았고, 제조 89.3% 기계/철강 89.2% 전기·전자 88.0% 건설/인테리어 87.4% 순으로 높았다. 반면 금융(63.3%), 교육/출판(77.9%) 업계는 주말 근무 경험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직종별로는 생산/품질/공무 직무 분야의 직장인 중 주말근무 경험자 비율이 91.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연구개발 90.0% 마케팅 88.3% 분야도 높았다. 반면 인사/행정/교육(68.5%), 재무회계(72.4%) 직무 분야는 주말근무 경험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주말근무를 하는 이유는 업무가 너무 많아서는 답변이 4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의 특성상 주말에 해야 한다(31.9%), 상사가 나오라고 해서(15.1%), 기타(3.7%) 순이었으며, 특근비를 받으려고 나온다는 답변은 2.9%에 그쳤다.
다음으로 주말 근무 시 그에 대한 보상에 관한 물음(복수응답)에는 없다는 답변이 54.7%로 가장 많았다. 특근비는 33.0% 평일 출퇴근 시간 조정은 7.6% 별도 휴가는 6.0% 인사고과 반영은 3.7%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