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개편과 수입재 대응 최우선 과제다

구조개편과 수입재 대응 최우선 과제다

  • 철강
  • 승인 2016.03.21 06:50
  • 댓글 0
기자명 에스앤앰미디어 hyju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월 철강재 수입이 전년보다 11% 증가한 것으로 한국철강협회가 발표했다. 철근과 H형강의 수입량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전체적으로 주 수입국 중 일본은 3.0%가 줄어든 반면 중국산은 15.2%가 늘어나 전체 수입의 58.6%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공급 과잉으로 수출량을 적극 늘리고 있는 중국 철강사들의 파상 공세에 국내 철강시장과 철강사들이 받는 영향은 절대적이다.  
실제로 수입 철강재가 국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이미 기준선을 크게 넘어선지 오래다. 한국철강협회가 발표하고 있는 명목소비(내수) 대비 수입재 비중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2014년 40.9%에 달했던 수입재 비중은 지난해 39.5%로 주춤했다.

  하지만 철강 생산국 중 수입재 비중이 40%를 넘나드는 국가는 우리가 유일무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서면서 지난 1월 수입재 비중은 또 다시 41.8%로 크게 늘어났다. 2월에도 수입량을 보면 1월과 비슷한 높은 수준을 기록할 것이 분명하다.

  업계에서는 봄 성수기를 앞두고 저가에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철근 등 봉형강류 위주로 수입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 설(춘절) 이후 중국 내 가격이 강세로 돌입한 것도 수입을 부채질한 요인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일시적 현상이 문제가 아니라 이미 국내 철강시장이 중국산 철강재에 익숙해지고 체화되었다는 사실이 보다 더 근본적 문제임에 틀림없다.
현재 국내 철강사들과 철강업계의 최대 이슈는 2가지로 집약된다. 원샷법 등 범국가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구조개편과 수입재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바로 그것이다.

  우선 구조개편은 말 그대로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철강산업의 비전과 밑그림이 그려져야 한다. 산업부가 추진하는 철강산업 보고서에 바로 그것이 담겨져야 할 것이며 민관이 모두 참여하는 위원회가 합의를 담은 그것을 만들어 내야 한다.

  단지 재무적 판단과 금융 측면에서의 구조조정은 자칫 좀비기업의 생명 연장뿐만 아니라 국가 기간산업으로서의 경쟁력 있는 철강산업의 기본 틀과는 거리가 멀어질 수도 있다.

  그런데 최근 모습은 좀 실망스러운 상황이다. 금융권은 적극적인 반면 산업부나 업계의 움직임은 별로 느껴지지 않는다. 적어도 미래 철강산업의 기본 틀을 금융권에 제시하고 구조조정 차원이 아닌 구조개편 차원에서 정부와 업계가 주도해 나가야 할 일이다.

  두 번째로 수입재 대응 역시 보다 더 전략적이고 치밀하게, 적극적으로, 때로는 과감하게 진행돼야 할 일이다. 엊그제 반제품과 봉형강류에 무차별적인 긴급수입제한조치인 세이프가드(Safe Guard)를 발동한 베트남이 대표적인 사례다.  

  또 제도적인 장치를 강화하고 적극 실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과 분위기를 조성하는 작업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일이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