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세미나) “강관업계의 동남아 진출, 에너지 관련 업체와 동반 진출 필요”

(강관세미나) “강관업계의 동남아 진출, 에너지 관련 업체와 동반 진출 필요”

  • 강관 세미나 2016년
  • 승인 2016.11.09 15:52
  • 댓글 0
기자명 박재철 parkjc@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강산업연구원 손영욱 원장, “안정적 수요 기반 필요”

  9일 포스코센터 서관 4층 아트홀에서 열린 제12회 강관세미나에서 철강산업연구원 손영욱 원장은 ‘동남아시아 에너지시장 동향 및 국내 강관사 진출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손 원장은 동남아시아 에너지시장 현황에 대해 “지난 2015년 12월 31일 아세안 10개국이 역내 경제통합을 목표로 아세안공동체를 공식 출범했다”며 “4대 중장기 목표로 단계별 경제통합을 추진 중이지만 현재 1단계 목표 외에는 이행조치가 구체화되어 있지 않다”고 말했다.

  현재 전 세계 시장에서 아세안 10개국이 차지하는 위상과 영향력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에너지시장 규모 및 구성비에 대해서 그는 “지난 2000년부터 2013년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에너지 수요가 50% 이상 증가했다”며 “에너지 안보강화와 지속가능한 에너지정책 수립방향이 국가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석탄의 경우 40년 440Mtce에 이를 전망으로 역내 에너지 자원 중 가장 빠른 증가세인 연평균 4.6%의 증가율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주요 국가별 에너지시장 현황에 대해서 인도네시아는 원유 노후화 등의 원인으로 원유생산량은 감소세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석유회수증진(EOR)기술 요구가 늘고 있다. 또 2030년까지 대규모 가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파이프라인 건설, 정유공장 및 미니 정유공장 건설, LNG터미널 건설, 플랜트 건설 등이 계획되어 있다.

 철강산업연구원 손영욱 원장이 ‘동남아시아 에너지시장 동향 및 국내 강관사 진출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손 원장은 “현재 인도네시아에는 대규모 송유관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다"며 "주요 유전에서 수출항까지 연결되는 지선위주의 송유설비가 운영 중이다. 그러나 가스관의 경우 총 연장 2,158km를 연결하는 시스템이 광범위하게 구축되어 있다‘고 말했다.

  미얀마 에너지시장에 대해서는 총 104개의 광구를 보유하고 있다. 석유 계약 대부분이 생산물분배계약(PSC)으로 원유 회수증진(IPR)계약도 주요 계약 형태다. 노후한 유전, 가스전의 재활성화로 추가적인 회수를 늘리기 위해 원유회수증진 계약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형태를 활용하고 있다.

  베트남의 경우 석유와 석탄의 소비는 지난 2000년 이후 연간 10%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베트남 에너지경제연구소의 에너지 수요 전망에 따르면 연간 경제성장률 7~7.5%의 경우에 에너지 수요는 2030년 164.9Mtoe로 전망했다.

  동남아시아 지역 강관수급 현황 및 전망에 대해 손 원장은 “최근 저유가로 북미지역 리그 카운트 급감과 한국산 강관 반덤핑제소 증가로 북미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국내 강관사의 수출에 심각한 위기상황이 도래하고 있다”며 “국내 강관사들의 수출지역 다변화에 대한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2015년도 WSA 철강통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의 수입시장 규모가 크다. 최근에는 필리핀, 미얀마 지역에서의 수입시장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아시아지역에서 무계목강관을 생산하는 국가는 중국, 일본, 한국으로 나머지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용접강관만을 생산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손 원장은 국내 강관사의 동남아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한국산 유정관, 라인관 등 제품품질 및 용접기술 등 제품 기술력이 우수하다"며 "우수한 기술력을 통해 석유공사, 포스코대우 등 국내 기업에 필요한 강관재 공급을 통한 수출활로 개척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가스공사, SK에너지, GS에너지/자원 개발 진출시 컨소시엄 참여 등 동반진출이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러한 국내 강관사들의 원활한 수출을 위해 수출금융 지원제도 등 정부 수출지원 제도를 활용해 수출 및 투자 위험을 분산시켜야 한다”며 “국내기업 대상으로 현지 전문 공급업체와 전략적 파트너쉽 구축으로 수출확대를 위한 교두보와 한국 정부의 동남아시아 국가 SOC투자사업 참여를 필요로 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