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ICT, 소용량 태양광 발전사업 진출

포스코ICT, 소용량 태양광 발전사업 진출

  • 연관산업
  • 승인 2017.05.26 15:47
  • 댓글 0
기자명 김도연 kimdy@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마트 인더스트리 플랫폼 기반 Smart O&M으로 발전 효율 극대화

  포스코ICT(사장 최두환)가 친환경 태양광 소용량 발전 사업에 진출한다.

   포스코ICT는 기존 건물과 공장지붕에 태양광 패널 등 인프라 시설을 설치해 1㎿급 소용량 발전을 하고 이를 전력거래소(KPX)로 판매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포스코ICT 포항 본사건물과 포스코 광양제철소에 관련 인프라를 설치해 내년부터 시험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고 추가로 부지를 확보해 발전 용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포스코ICT는 국내 도입을 앞두고 있는 소규모 전력중개사업과 소용량 발전사업을 연계해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현재 300㎿ 규모로 서비스 중인 전력수요관리(DR, Demand Response)와도 통합해 국내 최대 규모의 가상발전(Virtual Power Plant, VPP) 사업자로 성장할 계획이다. 

  국내 태양광 발전 시장은 정부가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을 중단하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현 4.6%에서 2030년까지 20%로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어 꾸준한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소용량 발전은 정부가 친환경 발전을 활성화하고자 제공하는 인센티브가 대용량 대비 상대적으로 많고 부지확보와 인허가의 어려움도 덜하기 때문에 전체 태양광의 8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고 성장성도 크다.

  기존 발전사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에 따라 전체 발전량 중 일정부분을 신재생 에너지로 발전해야 하는데 이것이 부족할 경우 외부에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포스코ICT와 같은 민간발전사는 현물시장에서 REC를 판매할 수 있다.

 포스코ICT는 Smart O&M(Operation & Maintenance) 기반의 발전소 통합 운영으로 경제성을 높일 계획이다. 소규모 발전소는 단위 운영비가 높아 다수의 발전소를 통합해 원격으로 무인 운영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포스코ICT는 자체 스마트 인더스트리 플랫폼인 '포스프레임(PosFrame)'을 적용해 Smart O&M 기반의 운영체계를 갖춰 발전소 운영 비용을 낮춤은 물론 그동안 활용하지 않고 버려지던 현장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해 설비관리와 발전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