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인사평가에 대한 직장인 인식 조사 발표
직장인 10명 중 7명 이상이 직장의 인사평가 제도를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는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최근 대기업과 중견기업 직장인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사평가 제도에 대한 직장인 인식 조사’에 따른 것이다.
해당 조사에서 직장인 75.1%는 ‘인사평가 제도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부문별로는 ‘평가기준의 합리성’(36.6%), ‘평가 과정의 투명성’(38.6%), ‘평가 결과의 공정성’(36.9%) 등 모든 항목에 걸쳐 ‘동의한다’는 긍정 응답이 40%를 밑돌았다.
직장인들은 이처럼 응답한 이유로 ‘사내 정치에 따른 평가’(58.8%), ‘개인 이미지로 평가’(41.2%), ‘연공서열’(35.5%), ‘온정주의적 평가’(27.5%) 등을 꼽았다.
인사평가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상당수 직장인들은 의구심을 표명했다. 인사평가가 ‘회사·개인 모두에 도움이 안 된다’는 답변이 44.1%, ‘회사에만 도움된다’가 34.6%를 차지했다. ‘회사와 개인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는 답변은 16.9%에 불과했다.
또 인사평가의 동기부여 효과에 대해서는 ‘오히려 의욕을 꺾는다’는 답변이 43.5%, ‘아무 영향력 없다’가 16.5%를 차지했다. ‘의욕을 고취한다’는 답변은 40%였다. 평가제도가 성과와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도 ‘효과가 없다’(52.7%)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했다. ‘도움된다’는 응답은 47.3%였다.
평가 결과와 인사 관리가 연계되지 않는다는 불만도 높았다. 61.1%가 ‘연계되지 않는다’고 답했고, ‘연계된다’는 답변은 38.9%였다. 또한, 평가 결과가 임금 인상과 승진에 반영되는지에 대해서도 각각 절반에 가까운 49.9%와 46.2%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직장인들이 인사평가 제도의 효과를 의심하는 이유 중 하나로 기업의 일방적이고 수직적인 평가문화를 지적했다. 대한상의가 인사부서장 700여 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상사가 단독 평가하는 ‘하향식 평가’를 적용하는 기업이 51.8%로 절반을 웃돌았다. 다면 평가는 47%였다. 대한상의는 "수직적인 평가 관행은 상명하복과 불통의 기업문화를 야기해 조직의 혁신과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며 "글로벌 기업들이 다양한 인사평가제를 활용해 선진 기업문화를 정착시켜 나가는 것과 대조되는 흐름"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제널럴일렉트릭(GE), 마이크로소프트 등 해외 선진기업들은 코칭 프로그램 도입과 절대평가제 전환 등 평가제도의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강제적 등급 할당과 차별적 보상에만 중점을 둔 상대평가제로는 혁신과 직원 역량 향상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구시대적 인사평가 관행이 상시 야근, 실적 중시·규범 무시, 도전 기피 등 부정적 기업문화의 근인(根因)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창의와 혁신의 기업문화를 추구하려면 문제의 근본 원인인 후진적 인사평가 관행부터 선진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