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에 해양플랜트 투자 10년래 최대…무계목강관 수출 늘어나나

고유가에 해양플랜트 투자 10년래 최대…무계목강관 수출 늘어나나

  • 철강
  • 승인 2023.10.10 11:12
  • 댓글 0
기자명 박재철 기자 parkjc@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 유가 고공행진에 해양플랜트 투자 증가

글로벌 해양플랜트 우자 금액 총 895억달러

국제 유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해양플랜트의 투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무계목강관 업계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조선·해운업 시장 조사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원유와 가스, 해상풍력 등과 연계된 해양플랜트에 투자된 금액은 총 895억달러(약 121조2,000억원)로 집계됐다. 올 연말까지 최종투자결정(FID)이 예정된 금액은 1,705억달러(약 231조원)다. 지난 10년간 해양 프로젝트 투자 금액 중 최대 규모다.

세계 1위 조선업체이자 국내 상위 3개사 중 한 곳인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 7월 호주 우드사이드 에너지사와 총 1조5,800억원 규모의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U) 1기를 수주했다. 삼성중공업도 2014년 국제 유가 하락으로 오랜 기간 인도하지 못했던 원유 시추선(드릴십)을 지난달 매각하는 데 성공했다.

해양플랜트 투자에 이어 원유 운반선도 인기를 끌고 있다. 원유 운반선은 올해 들어 8월 말까지 총 41척(124만CGT)이 발주됐다.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경우 올해 10년 내 가장 많은 유조선 계약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원유 운반선 발주량은 조선업 침체기였던 2018년에는 18척(55만CGT)에 그쳤고, 2021년과 2022년에도 각각 13척(39만CGT), 11척(33만CGT)으로 떨어진 바 있다.

국제유가의 팔레스타인 무장 테러집단인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원유 가격이 급등했다. 하마스의 공격에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포위 등 대반격에 나서면서 중동 정세가 불안해진 탓이다. 향후 유가 향방을 두고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산유국이 아닌 이스라엘의 전쟁이 원유 생산·공급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가 하면 중동 정세를 불안하게 하며 단기 급등의 배경이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일반적으로 고유가가 지속되면 채산성이 높아져 석유업체들의 해양플랜트 투자가 확대된다. 해양플랜트 시장이 활기를 띠었던 2010년대 초반 국제유가는 배럴당 120달러를 웃돌았다. 당시 해양플랜트 가격은 1기당 20억달러(약 2조4,046억원)에 달할만큼 높았으나 2016년 유가가 20달러 수준으로 떨어지며 해양플랜트 발주도 감소했다.

무계목강관 업계는 원자재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전방산업의 악화로 원가인상분 반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무계목강관 업계는 중국산 저가 제품과의 경쟁으로 제대로 된 수익률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산 제품의 유입으로 수요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무계목강관은 주로 해양플랜트의 수요에 집중되어 있다. 저유가와 수주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양플랜트의 여파가 무계목강관 업체들에게 까지 영향을 준 것이다.

아울러 원산지 표시를 위반한 제품으로 국내 무계목강관 업계는 저가 판매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산 모관을 국내에서 재인발 후 국산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중국산을 일체 허용하지 않는 수요처에서도 저가 제품의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