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고가 소재 사용에도 제품 판매 가격은 바닥
계절적 성수기에도 경기 침체 영향이 더 커
구조관 제조업계가 3월 계절적 성수기에도 판매를 통한 적자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고가의 열연강판(HR) 소재 사용에도 불구하고 제품 판매 가격이 하락하다보니 판매를 통한 수익을 거두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구조관 업계에 따르면 3월 중국산 수입 HR 가격은 톤당 600달러 초반대 수준의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해당 소재들을 구조관 제품으로 만들어 판매한다면 적자판매는 불가피하다. 현재 구조관 2mm 흑관 기준 톤당 90만원 초반대에 형성돼 있다. 일부 업체들은 제품 할인율 높여 물량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에 일부 구조관 제품은 90만원선도 유지하기 힘든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톤당 600달러 수준의 HR을 사용한다면 조관비용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제품 판매로 이어지는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이 4월에도 크게 개선될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구조관 업계는 가격 하락으로 인한 적자보다 매출 감소로 인한 시장지배력을 잃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월 1만톤 수준의 체제를 이어가다 보니 구조관 업계는 제품 가격 인상보다 판매량이 집착할 수밖에 없다. 특히 제조원가 상승보다 판매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판매량 확보에만 매몰되고 있는 상황이다.
구조관 업계는 원자재 구매에서도 업체별로 큰 차이가 없는 가운데 근로시간 단축과 조관비용 물류비용 등 판관비 상승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보통 톤당 10만원의 원가가 13~14만원까지 올라 수익성 구간이 이전보다 줄었다. 이는 제조원가가 8~9만원까지 오르고 판관비가 4~5만원까지 오른 영향이 크다. 실제 인건비용, 물류비용을 포함해 원부자재 가격도 상승한 영향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3~4월 고가 소재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제품 가격은 바닥인 상황”이라며 “계절적 성수기라는 점이 무색할 정도로 올해 3~4월이 가장 큰 판매를 통한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