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3개월 기존 전망치 대비 1천달러 하락한 8,500달러 전망
美대선 발 달러 인덱스 폭등·中부양책 내수 대책 미흡 원인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4대 금융그룹 중 하나인 씨티그룹(Citi)이 향후 동 가격 전망치를 11% 하향 조정했다. 트럼프 행정부 2기의 관세 인상 기조와 예상보다 부진한 중국 경기 부양책이 수요에 부담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다.
씨티그룹 애널리스트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연임 당선은 글로벌 무역 관세 정책에 분명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하며 "중국이 현재까지도 화폐 완화 정책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를 놀라게 했다"고 덧붙였다.
씨티은행은 향후 3개월 동 가격이 기존 전망치인 9,500달러 대비 1,000달러 하락한 톤당 8,500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 산업용 금속전반이 지난 9월 말 이후 10% 가까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씨티은행은 곧 들어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것이라는 우려가 달러화 강세를 야기했고, 동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데이터에 따르면 10월 물가 상승률이 보합세를 보인 후 수요일 달러 인덱스가 급등해 미 대선으로 촉발된 원자재 가격 상승장이 연장됐다는 평가다.
또 업계는 달러화 강세에 더불어 중국의 미흡한 경기 부양책도 동 가격 하락에 일조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 중국으로의 전기동 수입의 약 10%를 처리하는 이글 메탈 인터내셔널의 매니저는 중국의 동 수요가 회복되려면 더 강한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전한 바 있다. 그는 현재까지 중국 정부가 지방 정부 부채의 구조조정에 집중했을 뿐, 즉각적인 수요 상승을 촉진할 내수시황 개선에 효과적인 부양책을 내놓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한편 13일(현지시간)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동 선물은 식품 및 에너지 비용을 제외한 소위 핵심 소비자 물가 지수가 3개월 연속 0.3% 상승한 후 하락했다.
런던 오후 3시 38분 거래 기준 LME에서 동 선물은 톤당 1.1% 하락한 9,038달러를 기록했다. 알루미늄과 니켈은 하락한 반면 아연은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