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죽지세 中 전기동 생산에 '칼' 빼든 중앙정부

파죽지세 中 전기동 생산에 '칼' 빼든 중앙정부

  • 비철금속
  • 승인 2025.02.21 14:40
  • 댓글 0
기자명 이원진 기자 wjlee@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련업체 자체 원광 보유 여부 따라 확장 결정...조건 충족 기업 희박 
TC급락 등 제련업체 수익 급락 원인..."실 집행 시 조정 여지 있어"

중국 정부가 전기동 제련업체의 무분별한 확장을 제한하는 데 본격적으로 나섰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정책이 확장을 완전히 중단하기보다는 일시적으로 멈추는 데 방점을 뒀다는 평가다. 

중국의 11개 부처는 최근 전기동 생산을 제한하는 명령에 서명했다. 해당 명령은 기업들이 제련소에 공급할 충분한 원광 보유 여부를 통해 확장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전기동 생산을 제한한다. 중국이 원광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 최근 수요 대비 공급 부족이 더욱 심화된 점 등으로 대다수의 현지 기업이 이 조건을 충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가 이같은 결정을 내린 데에는 과잉 생산으로 인한 제련업체의 수익성 악화가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전기동은 시멘트, 철강 등과 함께 과잉 생산이 문제로 지적되는 산업 중 하나다. 과잉된 공급은 기업들의 수익 창출에 타격을 줄 뿐만 아니라 중국 경제 전반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꾸준히 문제가 제기되던 전기동 과잉 생산은 '23년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원광 부족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을 유지한 탓에 원자재 수급을 위한 제련소 간 경쟁이 심화됐다. 그 결과 가공 수수료가 마이너스로 전환되기도 하면서 수익성은 급락했다. 수익성에 손실이 보고됨에도 생산을 유지했던 배경에는 시장 점유율 축소에 대한 제련업체의 우려와 지방 정부의 생산 확대 인센티브가 존재한 것으로 확인됐다. 

상황의 악화를 막기 위해 중앙 정부가 개입에 나선 상황이지만 재생 에너지 전환과 중국의 수익 구조에서 신동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한 만큼, 규제 방향은 신중하게 조정될 전망이다. 이에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Benchmark Mineral Intelligence)의 애널리스트 자오융청은 "정부의 새로운 규정은 원칙적으로만 적용되며, 정책 실행에 있어 조정의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알루미늄이나 정유 산업과 달리 전기동 제련소에 대한 포괄적인 생산 상한선은 설정되지 않았다.

아울러 자오융청은 전기차 등 일부 산업에서 전기동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보니, 중국 정부가 확장 속도를 조절하는 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며 "공급 대비 수요로 상승한 원광 가격이 글로벌 투자 확대를 유도하면서, 장기적으로 원광 공급 부족 국면을 해소할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제련소가 자체적으로 원자재를 확보하도록 요구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현지 기업들은 해외 광산을 인수하거나 국내 광석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 또 중국정부는 향후 3년 동안 중국의 구리 광산 생산을 최대 10%까지 증사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