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비용 감소로 나사 없는 전선관으로 대체
건설 경기 불황과 공사비용 증가에 나사 없는 전선관 판매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건설 업계가 전선관 등 고가의 제품에 대한 대체제를 찾아 원가절감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강관사 중 나사 없는 전선관을 생산할 수 있는 업체로는 유일강관과 한진철관, 금강공업, 세아제강 등 다수의 업체들이 제품 생산이 가능해졌다. 나사 없는 전선관은 최근 추진되고 있는 신규 전기차 공장, 석유화학 정제시설 그리고 대형 물류센터의 대폭적인 증설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울러 일본의 건설업체의 지속적인 국내 전선관 수입물량도 큰 시장의 축이 되고 있다.
전선관의 경우 나사 없는 전선관 등 박강전선관을 사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국내 시공현장에서는 주로 후강전선관이 거의 100% 사용돼 왔다. 그러나 나사 없는 전선관 생산의 시작으로 국내 구조관 업계에서도 전선관 시장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전선관의 대표 수요처인 물류센터의 경우 지난해부터 공사비 증가와 기준금리 인상 등의 악재가 이어지며 착공이 지연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여기에 민간 건설 경기 악화로 제품 생산 및 판매에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나사 없는 전선관은 융용아연도금 강관 제품으로 후강 전선관 또는 박강 전선관과 달리 관단부 나사 가공이 필요 없다.
이와 함께 연결 부속품을 사용해 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제품 경량 및 연결방식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 유지보수성을 높이게 된다. 특히 후강 전선관 보다 무게가 가볍고 별도의 장비가 필요 없어 작업자의 현장사고도 줄일 수 있다.
제품 두께의 경우 전선관은 외경 21mm부터 113.4mm까지 규격이 다양한데 두께에 따라 후강 혹은 박강으로 구분된다. 후강 전선관은 보통 2.3~2.8mm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와 달리 나사 없는 전선관은 1.2~1.8mm로 일반 전선관 보다 두께를 줄였다.
또 전선관의 경우 나사 없는 전선관 등 박강전선관을 사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국내 시공현장에서는 주로 후강전선관이 거의 100% 사용됐다. 그러나 나사 없는 전선관 생산의 시작으로 국내 구조관 업계에서도 전선관 시장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