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개정…철강, 개별지침 적용 및 분류 수정&신설

환경부,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개정…철강, 개별지침 적용 및 분류 수정&신설

  • 철강
  • 승인 2025.07.29 17:46
  • 댓글 0
기자명 윤철주 기자 cjyoon@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일 국내 환경성적표지 작성 지침 개정 시행…철강업계, 친환경성 인증위해 ‘적극적’
EPD PCR 011-철강 반제품(수정), EPD PCR 046-산업용 철강제품(신설)으로 분류 ‘주의 필요’

환경부가 환경성적표지의 작성지침을 7월 30일부터 개정 적용한다고 밝혔다. 철강의 경우 기존에 ‘공통 및 사용 시나리오 지침’을 적용받았으나, 개정안에선 개별지침을 적용받게 된다. 

29일, 환경부는 우리 기업의 국제 환경·탄소규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제품의 환경영향을 산정하는 데 활용되는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개정사항이 30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환경성적표지(EPD)는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제18조에 따라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 채취, 생산, 유통,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 대한 환경영향을 7개(탄소발자국, 자원발자국, 물발자국, 부영양화, 오존층영향, 산성비, 광화학스모그) 범주별로 정량화하여 표시하는 인증 제도다.

포스코는 지난 2019년 철강업계 최초로 후판, 선재, 도금강판, 기가스틸(980DP), 고내식강판재 에 대한 7개 환경성 지표를 인증받은 바 있다. 현대제철도 열연강판화 후판, H형강 등 주요 제품에 대한 EPD 인증을 획득했고, 지난 4월에는 철근에도 EPD 인증을 받았다. 동국제강그롭에선 직선철근·코일철근·일반형강·H형강·비열처리후판·열처리후판 등에서 EPD 인증이 완료됐다. 

아울러 세아베스틸은 탄소합금강 부분에서 각재·선재·환봉 등 주력으로 생산하는 3개 특수강 제품군에 대해 일괄 인증을 받았고, 세아창원특수강은 스테인리스(STS)강 소재의 선재·환봉·평강·강관을 비롯해 공구강 소재의 환봉·평강, 특수합금강 소재의 선재·환봉 등 총 10개 특수강 제품군의 EPD 인증을 획득했다. 세아특수강도 냉간압조용선재(CHQ), 탄소·합금강 및 스테인리스 마봉강(Cold Drawn Bar) 등에 인증을 획득했다. 또한 강관사 등도 수출 및 수주 확대를 위한 EPD 인증을 완료 또는 추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개정안에서 철강은 ‘EPD PCR 011, 철강 반제품, Semi-finished steel products’, ‘EPD PCR 046, 산업용 철강제품, Industrial steel products’ 등으로 분류되어 개별지침을 따르는 품목으로 변경됐다. 기존에는 ‘EPD PCR 011, 철강제품, Steel products’으로 통합 분류되었고 공통지침에 따랐지만 반제품과 산업용 철강제품을 분류하여 개별지침을 적용받게 됐다.

특히 이번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개정 사항은 기존 작성 지침 중에서 주요 수출 품목 등 기업의 환경성적 산정 수요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국제 표준과 국내 산업 여건 등을 반영하여 제품의 환경성적 산정방법을 최신화됐다.

이에 따라 철강업계에서 국내 EPD 인증을 신규로 받을 때는 개정된 내용의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영태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개정을 통해 제도의 활용도를 높이고, 환경성적이 우수한 제품의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겠다”라고 밝혔다.

 

※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변경 내용 확인 :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pagerOffset=1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searchValue=&menuId=10557&orgCd=&boardId=1743070&boardMasterId=827&boardCategoryId=&decorato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