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매년 기술개발 사례 공유의 장 열고 경쟁력 강화 앞장
품질경쟁력 강화, 생산성 증대 이끌어낸 다양한 사례 발표
압연설비2부 이명준 과장 최우수상의 영예
	
		
					
	
	포스코 광양제철소(소장 고재윤)이 지난 10월 29일 광양시 금호동에 위치한 인재창조원 강당에서 현장의 노하우와 최신 기술 및 아이디어를 접목시킨 성과를 공유하는 ‘2025 광양제철소 기술발표대회’를 열며 기술경쟁력 확보에 적극 앞장섰다.
광양제철소는 급변하는 디지털 혁신의 물결 속에서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미래를 선도하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2019년부터 현장 직원들의 기술개발 사례를 선보이는 경진대회를 매년 개최해오고 있다.
 
 
전 부서가 참여한 이번 경진대회에는 약 27건의 기술개발 사례가 예선에서 경쟁을 치렀으며, 대회 당일에는 치열한 경쟁을 뚫고 본선에 진출한 5개의 과제에 대한 발표와 심사가 진행됐다.
이날 최우수상은 AI와 이미지처리(Image processing)기술을 활용해 전기강판의 판파단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설비 강건화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 압연설비2부 이명준 과장이 수상했다. 판파단은 압연 등의 철강생산 공정에서 철강코일이 끊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이명준 과장은 고가의 장비 없이 현장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조업 장비를 최대한으로 활용해 실시간 감지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현장 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확보해 눈길을 끌었다.
우수상은 Hyper NO(무방향성 전기강판)의 결함 발생 매커니즘에 대한 규명과 품질 개선을 통해 수율을 향상한 열연부 주솔빈 과장과 래들(쇳물 용기)에 담긴 쇳물이 슬래브를 만드는 공정으로 옮겨질 때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탐지하는 센서를 도입해 생산성 증대를 이끌어낸 제강부 진민종 대리가 수상했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모든 방향에서 균일한 자기 특성을 가지는 강종으로 주로 기계 모터의 소재로 사용된다.
아울러 장려상에는 슬래브 압연 스케줄링을 통한 열 손실 최소화로 에너지 비용를 절감한 생산기술부 김창영 사원과 도금 전처리 기술을 적용해 균일한 철강제품 표면을 확보하고 품질검사체계를 강화해 철강제품의 품질 경쟁력 확보에 기여한 품질기술부 최진주 대리가 선정됐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이명준 과장은 “부서원들을 포함한 관계자분들이 힘써 주셨기에 좋은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한다”라며 “앞으로도 더 좋은 품질의 철강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힘쓰겠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