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반형강 수입량 20만톤 밑돌아 2017년 이후 최저 수입량 기록 평균 수입가격 톤당 560달러대,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가격
12월 철근 평균 수입價 전월比 14달러↑ 반면 철근 수입 원가 50만원 후반대…판매價 대비 10만원 낮아 연초 이후 철근 수입 가격 오를 가능성 높아
지난해 철근 수입 약 47만톤, 2014년 이후 가장 적은 물량 기록 10년 평균 수입량 대비 36% 줄어 올해 철근 수입량도 감소세 지속할 것
일본 H형강 내수 가격, 8만엔 초반대 형성 수출價 톤당 660달러 지난해 연말 이후 보합
일본·스페인·인도산에 AD관세 최대 15.39% 부과안 입법예고 지난해 11월 일본이 제기한 WTO 패소...“절차과정 잘못 지적받아, 상소 이어나갈 계획”
지난해 빌릿 수입 약 25만톤, 전년比 50% 가까이 줄어 다만 일본 빌릿 비중 64% 수준에서 99%로 증가 지난해 빌릿 평균 수입가격 톤당 406달러 기록
2020년 수출품 대상 조사면제 희망 시, 1월 하순까지 행정요청 가능
터키, EU·韓 대상 반덤핑 조사 착수…지난해 25만톤 수출
1월 21일 408차 무역위원회에서 최종 판결 나올 가능성 높아 철강업계, “중국 제품에 대한 규제의 역할 크다”
KOTRA, ‘미국 대선결과 따른 경제·통상정책 전망과 시사점’ 발간 건설기계 등 수요산업 수출은 호조 예상, 탄소국경세 도입 시 철강 수출은 난항
현지 수요 및 가격 상승세 감안, 올해 상반기 적극적 수출 추진 지난해 열연광폭강대 수출 전년比 6.5배 증가...“시황변화 가능성에 대한 주의 필요”
수출 중심 판매 전략과 對중국 수출 증가 영향 중국과의 열연강판 무역수지 적자 ‘10년래 최저’
1월 사강 오퍼價 톤당 675달러, 전월比 105달러↑ 수입원가 톤당 75만원 수준…전월比 10만원 올라
철강 및 비철금속 분야 11개, 자동차 2개, 화학 2개, 이차전지 9개, 신재생에너지 2개 적용
2021년 1분기 중국 H형강 협정가격 톤당 638달러 안팎 직전 분기 가격 대비 4달러↓ 중국 H형강 덤핑방지관세 부과 및 가격약속 종료 재심사 진행 중
미국 상무부 “현대제철, 미소마진 인정하지 않겠다”...0.01% 상향 꼼수 BDP인터내션널과 성진스틸에도 0.5% 인정비율 부과
중국, 국내 최대 수요처로 떠올라 한국 업체 진출한 나라들에서 슬래브 수입 부진
KOTRA, ‘2021년 수출전망 및 중점사업 추진방향’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