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수입 증가·美 달러화 약세 등에 상승세 지속, 코로나19 재확산은 주요 변수
현대제철에만 AD 0.89%, CVD 0.51% 산정 포스코, 반덤핑 조사에서도 POR 목록 제외 ‘상무부 잘못 인정’
일본산 수입량 또다시 급증 철광석價 폭등에 수출·수입단가↑
전철강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27.1% 감소 중국·대만·중동·터키·아프리카·대양주 수출 증가, 수입은 태국 제외 모두 감소
지난 8월 수입 철근의 평균 수입원가 톤당 57만원 수준 국내시장 판매가격, 톤당 60만원 수준
철근·선재·중후판·석도강판·반제품 수출은 증가, 수입은 전기강판·석도강판 외 모두 감소
연례재심 재산정…현대제철 19%→9%, 세아제강 14%→4% 코로나19로 저유가 지속에 에너지용강관 수요 감소
올해 최고가에서 3주 연속 보합 연말 가격 인하 진행?
韓 열연업계 ‘내수 부진, 수출 수익성 높이기 어려워’ 생산 부담 증가 지속 10월 이후 대응 주목
타 판재류價 강세와 대비된 흐름 유통원가 60만원 중반대 ‘수익성 기대 낮아’
수출 수입 모두 전년대비 감소 저유가 장기화에 해양플랜트 불확실성 확산
7월 H형강 평균 수입원가 톤당 66만원 수준 기록 H형강 수입원가 6월 이후 다시금 오름세
4개월간 100달러 인상 부담 지난 15개월 중 가장 높은 가격대
코로나19發 수요산업 불황에 희소금속 KOIMA 지수는 ‘하락’
동국제강, 포스코강판 등 14개社 심사철회 상무부 “현대제철, POR 행정심사 신청 없었다”
사강 9월 한국향 철근 오퍼가격 톤당 510달러 전월과 동일 용강 오퍼가격 전월比 소폭 올라
열연 대비 인상 폭 제한 S45C·S35C 500달러 후반선
전철강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26.4% 감소 중국·대만·중동·영국·터키·아프리카·대양주 수출 증가, 수입은 베트남·독일 제외 모두 감소
수입재, 韓시장 영향력 위축 불가피 업계 관계자들 “중국 열연, 인상 여력 남아있다”
7월 수입 철근의 평균 수입원가 톤당 55만4,000원 수준 국내시장에서 판매되는 수입산 철근 가격은 톤당 60만원 안팎 형성
철근·선재·중후판·석도강판·반제품 수출 증가, 수입은 전기·컬러·석도강판 외 모두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