빡빡한 니켈 수급 상황에 LME 거래소 ‘거래 중단’·亞 STS 제조업계 ‘오퍼 중단’ 국내에선 4월 공급價 대폭 인상 전망이 대세...국내외 시장 니켈價 동향 ‘초집중’
금형 수입은 전년比 24% 증가한 2억2,500만 달러 기록
연이은 제조사 공급價 인상에 대폭 인상 결정...성수기 수익성 확보나서 2월까지 이어진 적자 판매 상황도 반영...업계 인상價 사수 의지 ‘强’
2020년보다 두배 가까운 수급 적자 中 생산 증가, 수요 증가 못 따라가 러시아 갈등 등 올해 알루미늄 공급 전망 불투명
세계수출·서유럽·중국 가격 각각 15.0%, 6.7%, 5.0% ‘상승’, 미국 가격은 10.0% ‘하락’
연휴 + 물류난 등으로 수출 실적 감소 높은 알루미늄 수요 등 바탕으로 전망 '좋음' 지정학적 변수로 인한 수요 감소 우려도 있어
생산 비용 상승 등으로 높은 가격대에서 안정적 움직임 예상 중국 전력 정책이 변수로 작용할 것
알루미늄, 지난해 최고점 경신하며 高價 달성 공급은 줄고 수요는 늘어.. 본질적으로 수급 문제 코로나19라는 특수한 환경 속 다른 요인도 급등에 영향
포스코, 인도 제철소 설립 추진으로 해외 확장 본격화 현대제철, 체코에 자동차용 핫스탬핑 라인 증설 세아제강지주 동국제강도 영국과 멕시코에 공장 증설
수출 27.1%↑…올해 中 생산 확대, 코델코 공략 등 변수 수입 4년 만에 30만톤 대…동스크랩 조달난 반대급부도 한 몫
中, 전력난에도 불구 생산량 증가 인도 등 아시아 지역 알루미늄 업체들 생산 증가 브라질 풍부한 자원·인력 등 바탕으로 알루미늄 생산 기지개
2021년 수출 전년比 2.2% 감소 반면 수입 15.2%↑ 스크랩 수출 급증 … 리사이클링 수입 수요도 늘어
국내 내수판매 한계로 제조원가 관리 필요 구매부터 생산경쟁력 확보까지 비용절감으로 수익 창출 비가동시간과 불량률 최소화하는 노력 필요
주요 금속 어원, 특성 등에 대해 쉽게 풀어가는 연재 기획
中 주축 베어링 수입 의존도 70%, 2017년 이후 매년 20% 이상 성장 주축 베어링, 타워 플랜지 등 정밀부품 수입의존도 높아
중기부 연내 3만개 스마트공장 구축 목표에 속도 통합생산관리시스템(MES)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 도모 MES로 생산부터 품질까지 모니터링으로 생산공정 제어
탄산리튬 내수價 175.08%↑·망가니즈 수출價 147.72%↑ 마그네슘·리튬 등 수급 불균형 … 가격 강세 지속 전망
11월 누계 생산·출하 각 341만8,847톤, 346만46톤, 전년比 3.2%, 7.1% 증가 반도체 수급난으로 인한 자동차 생산 감소로 9월 이후 생산·판매 전년 대비 감소
국내 수요 증가에 전철강 수입 전년比 14.7% 증가 품목별 신에너지차·에너지 관련 품목 외 대부분 수출 감소, 수입은 대부분 증가
11월 누계 생산·출하 각 295만7,812톤, 286만8,535톤, 전년比 37.5%, 33.7% 증가 자동차 생산 감소에 3분기 말부터 생산 및 판매 증가율 둔화
2021년과 다른 2022년 수익 확보 구간 감소 예상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따른 가수요와 가격 인상에 따른 수익만 기대 주52시간과 최저임금 상승에 제조원가 낮추는 투자 필요
알루미늄판 강한 수요 지속 '물량 확보' 글로벌 물류 병목 현상 여전해 수출 지체
건설 수주·투자 모두 증가 전망... 수주, 역대 최대 수준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