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발전소 CO₂감축 위한 CCS 기술 개발 앞장 선다

정부, 발전소 CO₂감축 위한 CCS 기술 개발 앞장 선다

  • 수요산업
  • 승인 2009.10.13 13:04
  • 댓글 0
기자명 김상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년간 1,000억원 투자 계획

정부가 발전소 CO₂ 감축의 일환으로 올해부터 2013년까지 5년간 약 1,000억원을 투입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CCS) R&D 및 실증을 지원한다.

지식경제부는 김정관 에너지자원실장이 13일 17시(한국시간)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는 ´제 3차 CSLF 각료회의´에 참석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CCS는 발전 및 산업공정(철강, 시멘트, 정유, 비료산업) 등에서 배출된 CO₂의 90% 이상을 포집한 후 압축 및 수송 과정을 거쳐 유전, 가스전, 대염수층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앞으로 정부는 2020년까지 CCS 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실증 규모의 단계적 확대와 저장소를 확보할 계획으로 내년부터 국내 CO₂ 저장 잠재량 조사를 통해 저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할 계획이다.

또한, 대규모 저장이 어려울 경우를 대비해 CO₂를 재자원하거나 재료에 흡수시키는 등의 대체 저장기술 개발을 병행하고 2014년까지 중소 규모(약 10MW급) 포집 실증 지원을 통한 필요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2015년부터 기업 컨소시엄 주도로 500MW급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라는 게 정부측 설명이다.

이 과정에서 전력수급계획의 신규 화력발전소 건설계획을 고려해 부지, 시기 등 대규모 실증 사업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김정관 지경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정부가 향후 5년간 약 1,000억원을 CCS에 투자하고 한전 및 5개 발전사가 2020년까지 약 1조3,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CCS 상용화를 적극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CS 기술은 전 세계 화석에너지 수요 증가, 탄소시장 확대에 따라 2020년경 상용화되어 관련 시장이 형성되고, 미래 핵융합 발전, 수소이용 기술 상용화 전까지 효과적 감축 수단이 될 전망이다.

또한 향후에는 CCS 기술 없이는 신규 화력 발전 시장 진입이 어려울 전망이며, IEA(국제에너지기구) 역시 「에너지기술전망 2008」을 통해 2050년 CO2 감축량의 19%를 CCS가 담당할 것으로 예상(단일기술 최대)하고 있다.



김상우기자/ksw@snmnews.com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