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드릴쉽, FPSO, LNG선, LNG-FSRU 전량 수주
중형 조선사 컨선 수주 확대 및 대형 컨선분야 진출 고무적
	
		
					
	
	지식경제부(장관:최중경)와 한국조선협회에 따르면 상반기 전세계 선박신조시장이 10.2% 하락한 상황에서 국내 조선산업은 대형조선소 중심으로 고부가가치선을 집중 수주함으로써 세계 1위(수주기준)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세계 조선시장 변화 추이(Clarkson)
| 
             
  | 
            
             ‘07년  | 
            
             ‘09년  | 
            
             ‘10년  | 
            
             ‘11.1-6월  | 
        ||||||||
| 
             발주량 (만CGT)  | 
            
             9,350  | 
            
             1,532  | 
            
             3,800  | 
            
             1,677  | 
        ||||||||
| 
             주요 수주국  | 
            
             한국  | 
            
             중국  | 
            
             일본  | 
            
             한국  | 
            
             중국  | 
            
             일본  | 
            
             한국  | 
            
             중국  | 
            
             일본  | 
            
             한국  | 
            
             중국  | 
            
             일본  | 
        
| 
             수주량  | 
            
             3,251  | 
            
             3,245  | 
            
             1,395  | 
            
             439  | 
            
             725  | 
            
             157  | 
            
             1,265  | 
            
             1,824  | 
            
             238  | 
            
             892  | 
            
             517  | 
            
             46  | 
        
| 
             (점유율 %)  | 
            
             -34.8  | 
            
             -34.7  | 
            
             -14.9  | 
            
             -28.6  | 
            
             -47.3  | 
            
             -10.3  | 
            
             -33.3  | 
            
             -48  | 
            
             -6.3  | 
            
             -53.2  | 
            
             -30.8  | 
            
             -2.7  | 
        
특히 드릴쉽, FPSO, 대형컨테이너선, LNG선, LNG-FSRU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서 압도적인 수주실적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국내 대형조선사는 상반기 전세계 발주된 선박 중 브라질 자국발주건(드릴쉽 7척, 약 46억불)을 제외하면 드릴쉽(21척), FPSO(2척), LNG-FSRU(2척)을 전량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발주된 전세계 LNG선박은 전량 수주한 것으로 자체조사결과 나타났다.
상반기 발주된 8,000TEU이상 대형컨테이너선 69척을 수주해 전세계 대형컨테이너선 발주물량의 75% 내외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상반기 발주된 전체 컨테이너선 발주물량의 65% 내외 수준 수주이다.
그러나, 벌커․탱커 시황의 지속적 침체로 중국, 일본 등과 함께 국내 중소조선사의 수주상 어려움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상반기 건조량은 전년 동기 대비 6.1% 감소한 772만CGT(253척)로, 중국(836만CGT, 511척)과의 건조량 격차를 줄이며 2위를 유지했다.
고부가가치 대형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원활한 수출에 힘입어, ‘11년 조선․해양 및 관련 기자재의 상반기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0.1% 증가한 약 320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국내 수주잔량은 지난해말 대비 4.6% 감소(4,319만CGT, 약 2년치 일감분)했으나, 대형조선사는 수주량 증가에 따라 수주잔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조선산업 동향 지표(Clarkson)
| 
             연도  | 
            
             수주량  | 
            
             건조량  | 
            
             수주잔량  | 
        ||||||
| 
             척  | 
            
             만CGT  | 
            
             증감률  | 
            
             척  | 
            
             만CGT  | 
            
             증감률  | 
            
             척  | 
            
             만CGT  | 
            
             증감률  | 
        |
| 
             ’08년  | 
            
             671  | 
            
             1,852  | 
            
             (△43.0)  | 
            
             510  | 
            
             1,550  | 
            
             -28.8  | 
            
             2,359  | 
            
             6,902  | 
            
             -6.3  | 
        
| 
             ’09년  | 
            
             163  | 
            
             439  | 
            
             (△76.3)  | 
            
             516  | 
            
             1,539  | 
            
             (△0.7)  | 
            
             1,860  | 
            
             5,437  | 
            
             (△21.2)  | 
        
| 
             ’10년  | 
            
             489  | 
            
             1,265  | 
            
             -188.4  | 
            
             508  | 
            
             1,596  | 
            
             -3.6  | 
            
             1,577  | 
            
             4,525  | 
            
             (△16.8)  | 
        
| 
             ’11.1-6월  | 
            
             224  | 
            
             892  | 
            
             -41.4  | 
            
             253  | 
            
             772  | 
            
             (△6.1)  | 
            
             1,416  | 
            
             4,319  | 
            
             (△4.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