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3~4주 전력피크기간 선제적 대응
지식경제부는 13일부터 오는 17일까지 5일 간을 ‘제3기 국민발전소 건설 주간’으로 선언하면서 전력수급 위기상황 극복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여름철 최대전력피크 기간인 8월 3~4주를 맞아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절전 동참을 촉구함으로서 전력수급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최근 10년 동안 8월 3~4주에 하계 전력피크가 6번이나 발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간의 예비전력은 수요관리 등 별도의 대책이 없다면 200만kW 이하로 예상돼 특단의 전력수요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지경부는 지난 6월부터 ‘국민발전소’와 함께 ‘아싸가자’ 운동을 통해 6월에 화력발전소(50만kW급) 3기, 7월에 1기를 건설한 것과 같은 성과를 거뒀다. 특히 지경부는 두 달간 1,077억 원에 달하는 총 7억6,200만kWh의 전력소비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주간 첫날에는 전력 절정기 사용량의 절반 이상(54%)을 사용하는 삼성전기, 포스코, 삼성전자, SK 에너지 현대자동차, 현대제철, SK 하이닉스 등 17개 산업계를 중심으로 절전경영 의지를 보여주는 보고대회를 개최하고, 기업별 전력위기 시 대응 체계를 점검한다.
14일에는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에너지시설안전 개선 대책 및 에너지기업 CEO 안전선언문 발표행사’를 개최하고 에너지시설 안전 점검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16일에는 ‘저탄소·에너지 고효율 제품 전시회’를 개최해 전력공급에 대한 철저한 대비와 함께 에너지 절약 문화 정착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17일에는 ‘절전 우수제품 보급 촉진 간담회’를 개최해 절전 우수제품 보급을 통해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