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재고 제로화'에 두 팔 걷었다

포스코, '재고 제로화'에 두 팔 걷었다

  • 철강
  • 승인 2013.02.28 08:32
  • 댓글 0
기자명 방정환 jhba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7일 재고제로화 Mega-Y 추진 발대식
철저한 드러내기와 재고발생 근본원인 제거

  포스코(회장 정준양)가 올해 새로운 경영목표로 내세운 '재고제로화'에 두 팔을 걷어붙였다.

  포스코는 27일 포스코센터에서 전사 재고 제로(zero)화 메가와이(Mega-Y) 추진 발대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정준양 회장과 출자사 임원 등이 참석해 재고 줄이기에 동참할 것을 다짐했다. 

  안전사고·품질불량·설비고장 3개 항목의 발생률을 제로(zero)화 대상으로 선정하고 ‘3제로화 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쳐온 포스코는 경영효율화를 위해 지난해 말 ‘재고’ 항목을 추가했다. 재고를 최소로 줄이는 활동을 더해 ‘4제로화 운동’을 추진키로 한 것이다.

  재고는 원료·부원료뿐 아니라 생산 중인 재공품, 제품, 백업설비 자재 등 생산활동 전반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제품을 생산하면 판매가 돼 수익이 발생하던 생산자 중심의 시장에서는 생산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재고를 얼마나 보유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느냐가 경영상 중요한 관심사였다.

  그러나 원료가격 상승으로 제조원가는 급격히 오른 반면 경기침체와 철강시장의 공급과잉으로 판매가격은 오르지 않아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자 재고는 수익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됐다. 재고가 많아지면 원재료 구입비용과 보관비용 등 자금소요를 늘리며 금융비용 부담을 높인다. 또한 생산현장에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문제가 드러나지 않도록 해 개선기회를 못 찾는 경우도 있다.

  재고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근 기업의 경영이슈로 떠오르며 포스코 역시 필요 이상의 재고를 줄이는 데 나섰다. 특히 이번 재고 제로화 메가와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비용절감을 위한 활동을 발굴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재고가 발생하는 근본원인을 찾아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준양 회장은 이날 발대식에서 “단기간에 현재 보유한 재고를 감축하는 것도 중요하나 재고발생의 근본원인을 해결함으로써 회사 경쟁력을 높이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 체계적으로 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금 보유한 재고를 제대로 드러내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한 뒤 근본적인 재고 발굴과 감축에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이번 재고 제로화 운동은 포스코를 비롯한 모든 출자사와 해외 생산법인, 가공센터의 원료, 재공품과 제품, 자재, 백업설비, 예비(spare) 부품 등에 걸쳐 진행된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