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수주 해외건설사업이 적어도 내년까지 건설사들의 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 아이엠투자증권에 따르면 현대건설·삼성물산·대우건설·GS건설·대림산업·삼성엔지니어링 등 국내 6대 대형 건설사가 2009∼2011년에 해외에서 수주한 저가 사업은 계약액 기준으로 총 37조3,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올해 공사가 끝나는 프로젝트(계약액 기준)는 11조7,000억원이며 내년과 2015년에 각각 23조9,000억원, 1조7,000억원의 공사가 마무리된다.
분기별로는 올해 2분기(6조7,000억원)를 단기 고점으로 감소하다 내년 1분기에 14조2,000억원으로 최고조에 이르고 이후부터는 점차 급감할 것으로 관측됐다.
해외 저가 수주 프로젝트의 완공 시기별 규모는 △ 올해 2분기 6조7,000억원 △ 3분기 3조8,000억원 △ 4분기 1조3,000억원 △ 내년 1분기 14조2,000억원 △ 2분기 3조3,000억원 △ 3분기 3조7,000억원 △ 4분기 2조7,000억원 등이다.
해외건설 사업이 애물단지로 전락한 것은 중동지역 플랜트시장에서 국내 기업간 출혈경쟁이 심화된 까닭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저가 수주 공사 마무리, 중동지역 경쟁 약화, 비중동 지역으로의 수주지역 다변화 등으로 국내 건설사의 해외부문 수익성은 반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6대 건설사의 해외수주액은 올해 51조1,000억원으로 작년보다 23.2%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