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6월 수출과 수입이 각각 0.9%, 1.8%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누적으로 수출은 0.6% 증가한 반면 수입은 2.6% 줄었다.
6월 무역수지는 17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올 상반기에만 196억달러 흑자를 냈다.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감소할 때 나타나는 ‘불황형 흑자’의 모습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6월 수출입 동향'을 보면 지난달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9% 감소한 467억3300만달러로 나타났다. 수입도 412억1800만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 감소했다. 이로써 6월 무역수지는 55억16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올 들어 수출이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인 것은 지난 2월(-8.6%)에 이어 두 번째다. 중국 등 신흥국과 미국·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은 증가했지만 엔저의 영향으로 대일본 수출이 6월에만 16.6% 급감했기 때문.
품목별로는 선박(11.8%), 반도체(6.7%), 무선통신기기(6.3%), 석유화학(4.8%) 등이 증가했고, 자동차(-1.6%), 석유제품(-7.7%), 일반기계(-10.7%), 철강(-13.2%), 액정표시장치(LCD)(-15.8%) 등은 감소했다.
수입은 원자재 수입이 줄어든 가운데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이 늘었다.
품목별로는 수입물량 확대로 석유제품(0.5%)만 수입이 증가하고, 단가하락 등에 따라 가스(–0.6%)와 원유(-6.4%), 석탄(-15.9%), 철강(-18.5%) 등은 줄었다.
산업부는 “하반기에는 미국의 경기회복 추세에 따른 글로벌 수요 증가와 선박수출 증가로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 폭이 상반기보다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미국의 출구전략과 환율 변동성 심화,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 등의 불안요인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