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회사채시장 정상화 방안이 다음주 발표된다. 정부가 신용보증기금에 6,000억~8,000억원 정도를 출연하고 이를 재원으로 최대 8조원의 회사채를 인수하는 방안이 핵심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등은 8조원을 지원하는 회사채 시장 정상화 방안에 잠정 합의하고 신용보증기금 출연 규모를 최종 조율하고 있다.
정부 대책의 핵심은 기업들이 발행하는 회사채를 산업은행 등을 통해 인수하고 이를 담보로 프라이머리채권담보부증권(P-CBO)을 발행하는 내용이다. P-CBO의 발행에는 신용보증기금의 신용보강이 이뤄진다. 이를 위해 기재부와 한은이 총 6,000억~8,000억원을 신보에 특별출연할 방침이다.
신보 규정상 보증재원의 20배까지 보증할 수 있지만 P-CBO에 담기는 회사채의 신용도가 높지 않은 만큼 배수는 10배를 넘지 않을 전망이다. 최대 8조원가량 보증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수혜를 볼 것으로 우선 꼽히는 곳은 건설, 해운, 조선 업종 기업이다. 3개 업종의 하반기 회사채 만기 물량은 4조3,590억원이다. 건설이 2조9,550억원으로 가장 많다. 해운과 조선은 각각 5,950억원과 8,100억원이다. 정부는 이들 업종 기업이 회사채를 상환할 수 있도록 새로 발행하는 회사채를 소화해준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 같은 단기 시장 처방과 함께 중장기적으로 회사채 시장의 수요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구조적 대책도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