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건설-조선 등 구조조정 대상 기업 40개 선정

금감원, 건설-조선 등 구조조정 대상 기업 40개 선정

  • 일반경제
  • 승인 2013.07.10 16:04
  • 댓글 0
기자명 김경익 kikim@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명단을 공개되지 않아

  금감원이 건설·조선·해운 등 40개 기업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다. 지난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36곳이었지만 올해는 지난해 보다 늘어난 것.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단은 대기업 1,802개사 가운데 584개사를 세부평가 대상으로 선정해 점검한 결과 40개사를 C등급과 D등급으로 분류했다.

  C등급에 해당하는 회사는 건설 14개사, 조선·해운 2개사, 철강·석유화학 1개사 등 27개사로 나타났다. D등급에 해당하는 회사는 건설 6개사, 조선·해운 1개사, 철강·석유화학 1개사 등 13개사다.

  업종별로는 건설사(시행업체 포함)가 20개로 가장 많고, 조선·해운사가 3개, 철강·석유화학·시멘트사가 2개, 기타 기업이 15개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C등급 업체는 워크아웃을 통해 조기에 경영 정상화를 지원하고, D등급 업체는 채권금융회사의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도록 할 방침이다. 워크아웃 대상 업체에 대해서는 워크아웃 개시 전에 은행의 채권 회수 등 금융 제한 조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도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올해 구조조정 대상 40개사에 금융권이 빌려준 돈은 4조5,000억원이라고 밝혔다. 은행이 3조7,000억원, 보험 2,100억원, 저축은행 2,3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 700억원 등이다. 이와 더불어 금감원은 이들 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추진으로 금융회사들이 더 쌓아야 할 대손충당금(채권을 회수하지 못할 때에 대비해 쌓는 돈)은 6천803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해당 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이유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명단을 공개되지 않았다.

  자금 사정이 어려운 기업들을 선정해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신용위험평가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뒤 2009년부터 금감원이 매년 실시하고 있다. 2009년 79개였고, 2010년 65개, 2011년 32개로 줄어드는 추세였지만, 지난해 36개로 다시 증가했고 올해도 대상이 늘어났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