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67%가 이공계 인력 채용에 어려움 느껴
국내 기업들은 창조경제를 이끌어 갈 우수 이공계 인력을 채용하는 데 상당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예비 공학박사들은 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비즈니스로 연결할 수 있는 기업에 가거나 창업을 선호하는데 비해 한국은 기업보다는 대학에 취업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인사담당자 1,023명을 대상으로 이공계 채용의 어려움을 설문한 결과 67%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A그룹 인사담당자는 “기업은 안정적이지 못하고, 원하는 연구를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인식이 있어 많은 이공계 고급 인력들이 기업보다 대학에 가려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경련이 예비 공학박사 155명을 대상으로 향후 진로를 설문한 결과 37%만이 기업을 선택했다.
이번 설문에서 국내 예비 공학박사들은 졸업 후 진로 선택에서 배운 지식을 사업화로 연계하는 기업이나 창업(47%)보다는 학문적 성과를 위한 대학(53%)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미국 예비 공학박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과 달리 대학(32%)보다 기업이나 창업(68%)을 훨씬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 김태운 팀장은 “창조경제를 이끌 인력들이 대학과 공공연구소만을 목표로 하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큰 손실”이라며 “우수한 연구인력을 기업에 오게 하려면 기업현장에서 오랫동안 연구해온 인재들이 대학교수로 채용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