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당진공장서 임원회의 참석
동부제철 김준기 회장이 19일 오전 동부제철 당진공장에서 열린 임원회의에 참석해 동양그룹 부도 사태로 빚어진 동부제철의 유동성 문제와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한 견해를 피력하고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이날 임원회의에는 동부제철 본사 및 각 사업장에 근무하는 전 임원이 참석했다.
김준기 회장은 이날 임원회의에서 “최근 외부에서 동부제철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이 있는데 요즘 같은 불경기에 상위 몇 기업을 빼고 확실한 캐쉬카우가 있는 회사가 몇이나 되겠는가”며 “기업은 겉으로 드러난 수치 외에도 현재 가시화되고 있는 성과와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이 중요한데 동부제철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현재 동부제철의 차입금은 금융기관 여신이 76%를 차지하고 있고 회사채가 24%, 기업어음(CP)는 없어 차입구조가 매우 정상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부채비율이 270%로 높은 편이지만 새로운 사업에 투자해 도전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있을 수 있는 일로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재무구조개선 작업에 더해 정부의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내년부터 열연부문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말에는 부채비율 210%선이 되도록 운영하겠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동부제철이 이미 수익성이 높은 냉연 판재류 사업 바탕 위에 열연 사업을 투자한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재무구조 안정성은 물론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동부제철의 전기로제철 방식과 관련, “포스코 같은 고로업체들의 시장 지배력 때문에 전기로제철의 진가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주변의 오해와 우려가 많다”며 “철광석과 석탄 같은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 철강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전기로제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기로제철은 기존 고로 방식에 비해 투자비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각각 1/4 수준에 불과하고 생산 기동성이 뛰어나다는 것.
김준기 회장은 “동부제철은 ‘자원이 없는 한국에서 우리의 자원(철스크랩)을 원료로 하여 철강을 만든다’는 꿈과 같은 이상을 현실화시키고 있다”며 “긍지와 자긍심을 갖고 도전해 나가자”고 직원들을 독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