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2월 제조업 PMI지수 53, 예상치 54하회
*중국 2월 HSBC/Markit 플래시 제조업 PMI가 48.3, 7개월만에 최저치
*미국 2월 Markit PMI(잠정) 56.7, 예상치 53.6
금일 구리 가격은 아시아장에서 중국의 부정적인 PMI지수 발표로 전반적으로 하락했으나 미국의 Markit PMI(잠정)지표 호조로 구리 가격은 상승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하락 분을 메우지 못하고 전일가 대비 $17 감소한 $7157(종가)에 마감했다.
중국의 HSBC/Markit 2월 제조업 PMI가 48.3으로 발표되었다. 이는 전월 49.5보다 낮아지면서 7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 한 것이다. 이 수치는 예전부터 우려 되었던 중국 경기 둔화를 어느 정도 뒷받침하는 듯 하여 금일 구리 가격 하락의 요인으로 풀이된다.
이번 달 유로존의 제조업 PMI지수가 53으로 집계 되었는데 이는 예상치인 54를 하회하는 수치이다. 독일의 제조업 PMI도 54.7로 예상치인 56.5를 밑 돌았다. 프랑스의 제조업 PMI 역시 48.5로 도출되어 위축 국면에 머물렀다. 이로 인해 유럽 제조업 부진에 대한 우려감이 시장에서 확대 된 듯했다.
전일 LME 전산장 마감 직후 미국 연준에서 의사록을 공개했다. 예상대로 지속적인 양적완화 축소에는 변함 없었다. 또한, 금일 발표된 신규 실업 청구 건수는 지난 주보다 소폭 감소했고 Markit PMI(잠정)지표도 예상치인 53.6을 상회한 56.7로 집계되어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 한 듯 하다. 다만, 필라델피아 연준 경기 전망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세부평가항목 중 하나인 '미래활동지수'는 오히려 상승했다. 기업들은 앞으로 6개월 동안 긍정적인 전망을 했다. 이러한 전망이 구리 가격 상승에 도움이 된 듯하다.
한편, 일본 정부는 인도네시아의 광물수출금지 법안에 대하여 WTO제소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다만 아직 양자회담을 통한 노력은 계속할 것이며 WTO제소는 옵션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양자 회담이 실패할 경우 일본은 중국과 연대하여 대응할 것이라고 Nikkel 일본경제신문사는 보도했다. 일본은 2013년 인도네시아로부터 전체 니켈 사용량 중 51%를 수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