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10% 상승 시 영업이익률 0.8%p 하락"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제조업을 영위하는 주요 대기업 120개사를 설문 조사한 결과 국내 제조업의 원/달러 손익분기 환율은 1,052.3원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조선업의 손익분기 환율이 1,125.0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음식료(1,075.0원), 펄프·종이·가구(1,067.9원), 석유화학(1,066.7원), 전자·통신(1,052.3원), 자동차·부품(1,050.0원)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원재료 수입 비중이 높은 산업인 철강·비철금속(1,032.1원), 비금속광물(1,025.0원), 섬유(1,025.0원), 등의 손익분기 환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됐다.
또 원화가치가 10% 상승할 경우,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평균 0.8%p 하락할 것으로 조사됐다. 영업이익률 하락 폭이 큰 업종은 의약품(1.5%p), 전자·통신(1.5%p), 조선(1.3%p), 펄프·종이·가구(1.1%p) 순으로 나타났다. 비금속광물의 경우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아 영업이익률 감소 폭(0.3%p)이 가장 낮았다.
한편, 기업들은 원화 가치 상승에 따른 경영실적 악화 방지를 위해, 원가 절감(42.0%), 환 헤지용 파생상품 투자 확대(16.8%), 수출 단가 조정(16.8%) 등 자체 대응 노력을 하고 있으나, 별다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기업도 15.3%에 달했다.
정부 정책으로는 확장적 통화정책 강화(45.8%), 수출 금융·보증 지원 확대(27.5%), 마케팅 등 수출 인프라 구축(10.8%), 환율 변동 위험 헤지 상품 개발 유도(10.0%)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