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철강 타격 커… 적정환율 1,086.3원
최근 환율 하락세로 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채산성(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속·철강 업종의 수익성 악화가 우려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9일 수출 중소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최근 환율 변동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 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에 응한 기업의 91.5%는 환율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라 답했다. 이중 59.6%는 매우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31.9%는 다소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로는 금속·철강(75.0%), 고무·화학(71.4%), 기계(68.8%), 음식료(66.7%) 등의 순으로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높게 나타났다.
수출 중소기업들이 예상하는 올해 손익분기점 환율은 1달러당 1,038.1원, 적정 환율은 1,086.3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엔화는 100엔당 1,059.4원, 적정 환율로는 1,100.6원이 제시됐다. 그러나 5월 15일 기준으로 현재 환율은 1달러당 1,020원대로 수출 중소기업의 손익분기점 환율과 적정 환율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더불어 수출 중소기업들은 2014년 최저 환율을 1달러=1,001.0원, 엔화는 100엔=975.7원으로 전망하고 있어 환율 추가 하락에 대한 업계의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환율 하락에 따른 대응 방법으로는 원가절감(43.6%) 수출 단가 조정(38.3%) 대금 결제일 조정(13.8%) 순으로, 대다수 중소기업이 원가 및 수출 단가 조정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수익성 악화를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환율 하락세에도 환 리스크 관리를 하지 않은 기업이 16.0%에 달했으며, 종사자수 50인 이하 기업(21.5%), 수출 규모 50만달러 미만(16.7%) 등 영세 수출 기업일수록 환 리스크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