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 철강수입 3,080만톤 기록‥세계 1위
韓 철강무역, 수출입 모두 세계 4위 차지
韓, 지난해 철강 순수출 990만톤 기록
중국의 철강재 수출량이 2012년에 이어 2013년에도 세계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철강협회(WS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철강재 수출량은 6,150만톤을 기록하며 철강 최대 수출국을 차지했다. 이는 전년대비 약 670만톤 증가한 수치다.
중국에 이어 일본이 4,250만톤의 수출량을 기록하며 세계 두번째 철강 수출국으로 조사됐다. 2012년 중국, 유럽연합에 이어 수출 3위국이었던 일본은 지난해 유럽연합보다 약 380만톤 많은 수입량을 기록하며 2위 자리를 빼앗았다.
지난해 한국의 철강재 수출량은 2,890만톤으로 철강 수출 세계 4위를 기록했다.
2013년 수출입 국가 순위(단위: 백만톤) | |||||
수출 | 수입 | ||||
순위 | 국가 | 2013년 | 순위 | 국가 | 2013년 |
1 | 중국 | 61.5 | 1 | 유럽연합 | 30.8 |
2 | 일본 | 42.5 | 2 | 미국 | 30.3 |
3 | 유럽연합 | 38.7 | 3 | 독일 | 22.1 |
4 | 한국 | 28.9 | 4 | 한국 | 19.0 |
5 | 우크라이나 | 24.7 | 5 | 태국 | 15.9 |
6 | 독일 | 24.3 | 6 | 이탈리아 | 15.6 |
7 | 러시아 | 23.6 | 7 | 중국 | 14.8 |
8 | 터키 | 17.3 | 8 | 터키 | 14.5 |
9 | 이탈리아 | 16.9 | 9 | 프랑스 | 13.2 |
10 | 벨기에-룩셈부르크 | 16.6 | 10 | 인도네시아 | 11.3 |
자료: 세계철강협회(WSA) |
수입에서는 유럽연합이 지난해 3,080만톤의 수입량을 기록하며 세계 최대 철강 수입국을 차지했다.
유럽연합에 이어 미국(3,030만톤), 독일(2,210만톤)순이였으며 한국은 지난해 1,900만톤의 수입량을 기록하며 수출과 같은 세계 4위를 기록했다.
또한 지난해 국가별 수입에서는 수출에서 10위권에 나타나지 않았던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지역의 수입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태국과 인도네시아의 철강재 수입량은 각각 1,590만톤, 1,130만톤으로 세계 5,10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국가별 순수출순위에서는 중국이 각각 세계 최대 철강 순수출을 차지하며 수출순위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수입 2위국인 미국이 순수입에서는 1,780만톤으로 세계 최대 순수입국가를 차지했다.
한편 한국은 지난해 990만톤의 순수출량을 기록하며 세계 5위의 철강재 순수출국 국가로 조사됐다. 한국 철강재 순수출 순위는 2012년에 비해 한단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순수출입 국가 순위(단위: 백만톤) | |||||
순수출 | 순수입 | ||||
순위 | 국가 | 2012년 | 순위 | 국가 | 2012년 |
1 | 중국 | 46.8 | 1 | 미국 | 17.8 |
2 | 일본 | 37.1 | 2 | 태국 | 14.4 |
3 | 우크라이나 | 23.0 | 3 | 인도네시아 | 11.6 |
4 | 러시아 | 17.1 | 4 | 베트남 | 8.6 |
5 | 한국 | 9.9 | 5 | 사우디아라비아 | 6.4 |
6 | 유럽연합 | 7.9 | 6 | 아랍에미레이트 | 5.3 |
7 | 벨기에-룩셈부르크 | 5.3 | 7 | 알제리아 | 5.1 |
8 | 브라질 | 4.4 | 8 | 필리핀 | 4.8 |
9 | 대만 | 3.8 | 9 | 이라크 | 4.5 |
10 | 벨기에 | 3.8 | 10 | 이집트 | 3.9 |
자료: 세계철강협회(WS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