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양호한 경제지표 지속 차익 실현 출회
금일 금속 시장은 중국의 경제지표가 금일 역시 양호하게 발표됐음에도 미국 달러화의 상승 흐름 지속과 전일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로 약세를 나타냈다.
중국의 5월 생산자물가지수 및 소비자물가지수는 시장의 전망치 및 이전치를 모두 상회하며 최근 나타난 중국 경제가 안정되고 있다는 시그널에 더욱 확신을 주는 모습이다. 하지만 금일 비철금속 가격은 전일 상승세에 피로감을 느끼며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고 주요 레벨에서 나타난 차익 실현 매물로 약보합세를 지속했다.
또한, 지속 중인 미국 달러화의 강세 흐름 역시 금속 가격의 상승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귀금속 시장은 저가 매수세 유입 및 미국 달러화 강세에 동반하며 장 후반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위험 선호 투자 심리를 개선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달러화의 강세 지속이 금속 가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칠지 주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철금속
금일 비철금속 시장은 중국의 경제지표가 양호하게 발표되며 최근 중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분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주요 레벨에서 나타난 차익 실현 매물 출회로 약세를 나타냈다.
또한, 미국 달러화는 최근의 상승 흐름을 지속하며 비철금속 가격의 하락세를 견인했다. 최근 비철금속 최대 이슈는 중국 파이낸싱(Financing) 조사에 대한 우려로 조사가 마무리되는 단계에서 나타날 방향성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귀금속
금일 귀금속 시장은 미국 달러화가 주요 통화 대비 강세 움직임을 보이면서 가격 하락으로 하루를 시작했다.
하지만 백금 계열 금속 중에 팔라디움(Palladium)과 플레티넘(Platinum)은 남아프리카 광산의 파업에 계속 영향을 받으며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하 결정 후 유로화가 주요 통화 대비 약세 흐름을 보이며 금일 금을 포함한 주요 귀금속 상품들은 하락을 연출했다. 이후 귀금속 상품들은 약세 흐름에서 벗어나 상승 반전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이며 금주 후반에 계획된 주요국 지표를 기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