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 하락과 공급 증가 등의 요인에도 불구 철강 업황의 회복이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KTB투자증권 심혜연 애널리스트는 25일 보고서를 통해 “고로사는 원가 하락에 의한 이익 개선 기대감이 있으나 원가 하락은 평균판매단가(ASP) 하락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또한, 하반기 포스코는 열연 300만톤, 현대제철은 후판 280만톤 등 일부 공급 증가 요인이 있지만, 중국 철강사들의 조강 생산 증가로 역내 공급 증가가 이어지면서 업황 회복은 지연될 전망”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