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회복과 유가하락 등 요인
철강 및 건설, 항공 업종이 이란 핵 협상 타결 시 수혜를 받을 것이라고 키음증권 천정훈 연구원은 전망했다.천정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3일 “이란 핵 협상이 타결될 경우 이란 제재완화에 따라 국내 업체의 기존 수요가 복귀될 것”이라며 “수출 회복과 유가 하락에 의해 철강·건설·항공 업종 수혜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천 연구원은 이란 제재조치 해제 시 가장 먼저 수혜를 볼 품목으로 철강제품을 꼽았다. 현재 이란의 주요 자동차 기업은 자동차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주로 수입한다. 그 중 특히 강판 수요가 큰 상황이다.
그는 “핵협상 타결시 이란산 자동차 강판시장의 50%를 장악했던 한국산 강판 수출이 재개될 수 있다”며 “한국은 2012년 이란 시장 점유율 24.3%로 1위를 기록해쓰나 2013년 철강 분야 제재로 아랍에미리트(UAE), 중국에 이어 점유율 15.7%로 하락했다”고 말했다.
건설업종과 관련해서는 이란의 자국내 천연자원 개발과 인프라 건설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2016년 이란의 건설시장 규모는 1544억달러 수준이다. 2013년(887억달러)의 2배에 달한다.
천 연구원은 “원유 생산량 복귀에 따른 재정확보 이후에는 인프라 투자의 범위가 주택, 전력, 교통 등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여 국내 건설업체에게 좋은 진출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원유 공급량 회복에 따른 항공 업종 수혜도 언급했다. 지난주 미국 원유 생산량이 주간 대비 처음으로 감소했지만 현재 원유 공급과잉 상황을 고려하면 유가 하락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그 는 “원유 판매를 통한 재정 확보가 절박한 이란의 상황을 고려하면 이란산 원유 방출은 즉각적으로 유가 하락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저유가 국면이 지속되면서 항공업종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