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스마트 공장 사업이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확산된다.
삼성전자는 경북 지역 외 전북, 인천 지역에 각각 1호 스마트공장을 구축했다고 3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내년까지 스마트공장을 적용한 중견·중소기업을 100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스마트공장 사업은 중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삼성전자의 노하우를 전수해 중소기업의 제조 경쟁력을 제고하는 사업이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도입됐다.

지난해 8월 산업부와 삼성전자는 150억원씩 2년 간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에 공동 출연해 재원을 조성했으며, 같은 해 10월부터는 삼성전자의 현장혁신, 공장운영시스템, 제조기술 분야 전문가 150여명을 선발해 스마트공장 보급을 지원해왔다.
삼성전자는 4월 말 기준으로 경북 지역 140여개 기업에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을 완료했다. 경북지역에 스마트공장 혜택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생산성은 기존보다 평균 142% 올랐고, 불량률은 79% 감소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올해 초부터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450여개 중견·중소기업을 선정했으며, 전북과 인천지역에 스마트공장이 탄생한 것.
전북 진안에 소재한 원광전자는 로봇자동화와 불량 감지 시스템을 도입해 기존에 한 번에 주입하던 설비를 다섯 개가 한 번에 주입되도록 개선해 시간당 생산량을 5700개에서 1만5000개로 늘렸다. 공정불량률도 86%로 개선했다.
삼성전자의 멘토 양규석 차장은 “원광전자 임직원들이 열정을 다해 함께 노력한 덕분에 3개월의 짧은 기간 동안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며 직원들의 도움에 감사했다.
또한 인천 남동공장에 위치한 엠에스씨는 약품 혼합탱크 수위조절 제조공정을 자동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했다. 공정불량률은 12%로 낮추고 제조 생산성은 12%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