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가 국내 중소기업들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지만 환율이 불안정해지면서 수출환경은 악화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영국과 EU 수출기업 179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브렉시트에 따른 수출 전망에 대해 응답 업체의 64.8%는 “영향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답했고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한 업체는 33.3%에 그쳤다.
수출 감소를 전망한 중소기업들은 외환시장 불안으로 인한 수출 환경 악화(52.5%)를 가장 많이 꼽았고 영국의 EU-FTA 특혜관세 상실로 인한 경쟁력 약화(45.8%), 영국의 경제성장 둔화로 인한 구매력 저하(35.6%) 등이 뒤를 이었다.
브렉시트에 따른 수출 영향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그 이유로 영국 수출 비중이 미미해서(79.3%)와 'FTA 특혜관세를 적용하지 않더라도 기존의 실행세율이 높지 않다는(9.5%) 점을 꼽았다.
브렉시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 지원책으로 국내 중소기업은 신규 바이어 발굴을 위한 해외마케팅 지원 확대(30.7%)와 환율변동성 완화를 위한 적극 대응'(26.3%), 한-영국 FTA 등 새로운 무역협상 시도(24.6%) 등을 꼽았다.
김경만 중소기업중앙회 통상본부장은 “영국에 대한 중소기업 수출 비중이 높지 않아 중소기업이 받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중소기업의 우려를 해소하려면 영국을 대체할 신규 바이어 발굴과 환율변동성 완화를 위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