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강봉강, 지속성장 위한 장기적 과제는?

특수강봉강, 지속성장 위한 장기적 과제는?

  • 철강
  • 승인 2024.10.23 08:47
  • 댓글 0
기자명 엄재성 기자 jseom@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방산업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에도 저가 중국산 수입 증가에 시황 악화 지속
신수요 및 신시장 발굴 통한 판매처 다변화, 제품 고도화 통해 장기 성장동력 확보해야

국내 주력산업 침체와 주요 수출국들의 경기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특수강봉강 업황 또한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현재 특수강봉강업계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은 사실상 역대 최악인 상황이다.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고물가로 인한 미국 주도의 고금리 정책, 이로 인한 환율 상승에 더한 주요 선진국과 신흥국들의 보호무역주의,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압박 등 경기 침체의 고리가 끊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대외 악재도 지속되고 있다. 중국 부동산 버블 붕괴로 인한 견설 경기 둔화와 이에 따른 내수경기 침체는 중국 철강사들의 저가 제품 밀어내기 수출 증가를 불러왔다. 게다가 대한국 특수강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은 엔저를 기반으로 한국보다 우월한 수출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고물가, 저가 수입재 증가, 수출 둔화 등 악조건 속에서 모든 한국의 특수강봉강업계와 전후방산업의 기업들은 원가 절감의 압박, 판매가격의 출혈경쟁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며, 판매와 수익성은 좀처럼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이처럼 경기 부진 속에 특수강봉강의 생산 및 판매가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한 상황에서 수요산업별 기상도는 천차만별이다. 자동차 부문의 판매는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여전히 견조한 상황이지만 건설 및 중장비, 산업기계 부문의 특수강봉강 수요는 급감했다.

전방산업의 부진으로 인해 올해 특수강봉강 생산 및 판매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실제로 한국철강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8월 누적 기준 특수강봉강 생산과 판매는 각 158만4,968톤, 163만8,83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4%, 18.0% 감소했고, 내수와 수출은 각 145만1,616톤, 18만7,217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8%, 29.6% 감소했다.

반면 9월 누적 기준 전체 특수강봉강 수입 물량은 56만9,708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하는 데 그쳤다. 게다가 저가의 중국산 수입 물량은 51만7,692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전체 수요가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한 상황에서도 저가의 중국산 수입 물량은 오히려 증가했고, 전체 수입 물량은 거의 변동이 없었다. 이는 국내 수요가들이 원가 절감을 위해 저가의 수입재 채택을 늘렸기 때문이다.

수요가들의 수입재 채택 증가로 인해 국내 특수강봉강 가격은 약세가 지속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해 올해 상반기 특수강봉강 제조업체들의 경영실적 또한 악화됐다.

특수강업계에서는 전체 시황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주요 전방산업의 경기가 반등할 수 있는 거시적 경제 흐름의 변화가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물가안정으로 인한 금리 인하 정책 및 경기 회복, 중국의 부양정책에 따른 리오프닝이 매우 어려운 상태이며, 단기적으로 글로벌 경기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국내 시장에서 특수강봉강 제조업체들과 유통업체들은 저가 수입재에 대응하여 당장의 판매량 유지를 위해 출혈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제살 깍아먹기’ 식의 출혈 경쟁은 결코 지속될 수 없으며 장기적으로 안정적 판매량을 유지하면서도 국내 시장 가격을 안정화를 위한 방안이 절실한 시점이다.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현재와 같은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결국 판매 시장의 다변화 및 제품의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수강봉강의 최대 수요처인 자동차산업의 경우 앞으로 국내생산은 정체될 것으로 보이며, 보호무역과 원가 절감에 따른 현지 생산 및 수출국 주변 지역의 생산이 점차 증가할 것이다, 기타 산업용 특수강봉강 소재 기업들 또한 경쟁력 약화로 생산이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 시장의 가격 출혈경쟁을 줄이고 가격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수출시장을 다변화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다. 또한 수출시장에서도 저가 중국산 제품과의 경쟁을 위해서 제품 고도화를 통한 경쟁 탈피, 수익성 확보는 필수적이다. 앞으로 국내 특수강봉강 제조업체들은 성장은 물론 생존을 위해서라도 많은 도전과제와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