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업계, 내년 美 LNG 시장 주목

강관업계, 내년 美 LNG 시장 주목

  • 철강
  • 승인 2024.12.11 11:44
  • 댓글 0
기자명 박재철 기자 parkjc@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LNG 수출 물량 증가 예상

세아제강, 대구경 스테인리스 강관으로 수요 대응

글로벌 액화천연가스(LNG) 붐이 트럼프 2기 정부의 출범을 계기로 다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강관 제조업계의 이목도 쏠리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25~2028년 제3차 글로벌 LNG 수출 붐 시대로 규정하면서 미국 LNG 수출량이 현재보다 2배 급증할 것으로 예상할 정도다. 과거 카타르는 석탄·석유 보다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LNG가 주목 받자 글로벌 LNG 수출 허브를 추진했다. 이는 결국 2009~2011년 카타르 주도의 제1차 글로벌 LNG 수출 붐으로 이어졌다.

미국의 경우 2010년 셰일가스 기술혁명으로 에너지 독립을 이루자 수출국으로의 변신을 시도했다. 가스 생산을 급속히 확대한 끝에 유가가 상승하자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LNG 수출을 시작했다. 바로 2016~2019년 제2차 글로벌 LNG 수출 붐이다. 트럼프 1기 정부와 호주가 이를 주도했다. 미국은 급기야 유럽의 러시아 파이프라인 가스 의존도를 줄이고 유럽향 LNG 수출 확대를 모색하면서 한국과 일본의 카타르 가스 의존을 축소하려 했다.

미국은 지난해에 세계 최대 LNG 수출국으로 부상하면서 글로벌 천연가스 시장을 장악했다. 미국의 지난해 LNG 수출은 전 세계 거래량(5,500억 입방미터) 중 20%(1,200억 입방미터)를 차지할 정도다.

트럼프 2기 정부가 출범하면 미국의 신LNG 수출전략의 주요 타깃은 유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연합은 40%에 달하는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를 2030년까지 ‘0’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2기 정부가 서유럽, 동유럽, 발트국가들의 러시아 가스와의 결별을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상황이다.

STS강관을 생산하는 세아제강 순천공장 전경=사진제공 세아제강

천연가스의 경우 액화 및 저장하고 운반하는 것은 그리 녹록한 과정은 아니다. 천연가스의 액화점은 1기압에서 영하 162도인데 이 기압과 온도 때문에 LNG를 저장하고 운송하는 것이 까다로워진다. 탄소강 강재를 사용하는 원유나 가스와 달리 LNG 파이프라인에는 스테인리스(STS)강관을 사용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STS는 저온에서 취성을 띄는 탄소강과 달리 극심하게 낮은 영하 196도에서도 충격에 버티는 소재다.

국내 강관업계는 글로벌 LNG프로젝트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세아제강은 글로벌 LNG프로젝트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스테인리스(STS)강관 설비 증설을 완료했다. STS강관 24인치 조관라인은 세아제강 순천공장에 약 34만㎡(10.3만 평) 규모로 설치되었으며, 롤포밍(Roll-Forming) 방식으로는 외경 기준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기존 후판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롤벤딩/프레스벤딩 제조 방식 대비, 코일을 원재료로 사용해 조관라인에서 성형, 용접, 열처리, 교정까지 한 번에 STS 강관 제조가 가능해져 연산 1만 톤의 생산능력 증대뿐 아니라 빠른 조관 속도 및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글로벌 LNG향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어 관이음쇠 전문 생산기업 성광벤드는 LNG수주를 바탕으로 배관자재 수출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성광벤드는 미국과 캐타나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LNG터미널 수출시 탱크나 배관이 필요한대 이때 필요한 물품을 성광벤드에서 수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유에 사용하는 카본 제품보다 저항이 있는 LNG 화학물질에 쓰이는 비카본(스테인리스, 합금강)의 가격이 3배에서 10배 정도 비싸 영업이익에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