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구강 유통시장, 불황 속 중국산 수입재 잠식 심화”

“공구강 유통시장, 불황 속 중국산 수입재 잠식 심화”

  • 철강
  • 승인 2025.01.13 08:41
  • 댓글 0
기자명 엄재성 기자 jseom@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산 저가 강종 시장 잠식에 고기술 특화제품 판매로 수익성 확보, 리스크 관리 주력

국내 공구강 시장은 지난해 중국산 수입재의 시장 침투가 지속되면서 국내산 제품을 주로 유통하는 업체들이 큰 어려움을 겪었다.

프레스금형과 공구, 다이스업체들을 주 수요처로 둔 공구강 유통업체들의 경우 기계 및 건설업의 장기불황으로 인해 수요가 부진했던 데다 중국산 수입재의 점유율 확대로 제품 가격도 낮은 수준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이에 공구강 유통업체들의 경우 고기술 특화제품 판매를 확대하여 수익성을 확보하고, 리스크 관리에 주력하는 업체들이 대부분이다.

안산시 소재 공구강 유통가공업체 제일특수강은 세아창원특수강의 대리점이자 일본의 하이스 공구강까지 취급하는 업체이다.

제일특수강 회사 전경. (사진=철강금속신문)
제일특수강 회사 전경. (사진=철강금속신문)

제일특수강 오수은 상무는 “지난해에는 국내 주력산업의 부진으로 인해 공구강 수요가 다소 위축됐다. 올해에도 전반적으로 수요는 부진할 것으로 보이며, 제품 가격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오수은 이사에 따르면 제일특수강의 고객사들은 프레스금형과 공구, 다이스 등을 제조하는 영세 금형 및 공구 제조업체들이 대부분이다.

지난해 주력산업 전반이 부진한 가운데 금형 및 공구 제조업체들 또한 실적 부진에 시달린 상황에서 올해에도 비슷한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공구강 시장에서 중국산 제품의 시장 잠식이 심화된 것과 관련하여 오수은 상무는 “판재 가공업체들의 경우 중국산 수입재로 만든 금형 및 공구를 많이 사용한다. 고기술을 요하는 분야가 아닐 경우 가공업체들은 가격 위주로 금형 및 공구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 관련 제조업체들이 중국산 소재를 우선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공구강 시장은 저가 부문은 중국산 소재, 일반 부문은 국내 제품, 고기술 부문은 수입재가 차지하고 있다.

저가 부문의 경우 사실상 국내 업체들의 대응이 어려워 유통가공업계에서는 국내는 물론 일본과 유럽산 고기술제품의 비중을 확대하여 대응하고 있다.

제일특수강의 경우 국내 유통업계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일본산 하이스 공구강을 유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다. 하이스공구강은 나이프와 펀칭, 드릴과 탭 등의 제조에 사용하는 고강도 소재이다. 제일특수강은 미국의 프로테리얼 그룹이 인수한 구 히타치금속의 제품을 유통하고 있다.

오수은 상무는 “올해 공구강 시장은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가운데 수요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다. 당사에서는 강점을 갖추고 있는 고기술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확보하고, 리스크 관리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